The Good Childhood Report 2018 – Chapter 2. 주관적 행복과 정신적 건강

Chapter 2: Subjective well-being and mental health
2장. 주관적 행복과 정신적 건강

 

  그림 8은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 우울한 증상(depressive symptoms), 정서적 및 행동적 어려움(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는 위의 그림과 같다. 발견점은 바로, 삶의 만족도와 우울한 증상 사이의 관계가 다른 관계들보다 훨씬 더 큰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진 어린이들과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이는 어린이들이 중첩되는 부분이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삶의 만족도가 낮은 어린이 중 거의 절반(47%)가 높은 우울증 증세를 보였다. 한편,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인 어린이들 중 19%가 높은 정서적 및 행동적 어려움(EBD)을 겪었으며,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인 어린이들 중 21%만이 높은 정서적 및 행동적 어려움(EBD)을 겪었다.

 

 

 

  그림 9는 아동의 성격과 환경에 따라 낮은 삶의 만족도, 높은 우울증, 높은 정서적 행동적 어려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본 결과이다. 우선, 남자 아이보다 여자 아이일 경우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소득이 낮은 집단일수록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로, 남자 아이보다 여자 아이일 경우 높은 우울 증상을 보였으며, 흑인이나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사람보다는 백인과 혼혈이 더 높은 우울 증상을 보였다. 또한 우울 증상의 경우에는 소득이 가장 낮은 집단보다 두 번째로 낮은 집단이 더 높은 우울 증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높은 정서적 및 행동적 어려움의 경우,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보다 더 많이 경험했으며, 이 또한 삶의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소득이 낮은 집단일수록 더 높은 정서적 및 행동적 어려움을 겪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