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왜 경제력만큼 행복하지 않은가?
: 2017세계행복보고서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중요성
세계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지금까지 한국인들은 이 보고서에 나타난 한국(South Korea)의 행복순위에 큰 관심을 가져왔다. 최근 사례만 소개하면, 2015년 세계행복보고서에서 한국은 158개국 중 47위에 위치하였고, 2016년에는 157개국 중 58위에 위치하였으며, 2017년에는 155개국 중 55위를 기록하였다(Helliwell, Layard, & Sachs, 2017). 이렇게 보면 한국은 행복상위 30% 이내에 속하는 상당히 행복한 나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어떤 분들은 필자의 이런 평가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먼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한국의 자살률이 1위라고 들었는데, 한국인의 행복이 상위 30%에 속한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아무리 생각해봐도 나는 별로 행복하지 않은 것 같은데, 우리나라가 상위권에 속한다는 것을 인정하기 힘들 수도 있다. 또 내가 아는 사람들을 봤을 때도 별로 행복해보이지 않고 늘 힘들다는 소리를 입에 달고 사는데, 그렇다면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다 이상한건가라고 의아해할 수도 있다.
여기에 대해 답변하자면, 세계행복보고서는 삶 전반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0-10점 사이로 측정한 후, 이 데이터의 국가별 평균을 구하고 순위를 부여한 것이다. 우리는 절대평가 점수가 몇 점인지 보다, 순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언론들도 순위를 보고하기에 바쁘다), 순위는 어디까지나 국가들 사이의 행복을 비교하기 위한(상대평가하기 위한) 도구이지, 그 나라 사람들의 실제 행복이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즉 그 나라 사람들의 진짜 행복점수를 알기 위해서는 절대평가 점수, 다시 말해 10점 만점 중 몇 점을 받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행복 순위가 최상위권인 나라들의 행복 점수를 살펴보자. 2017년 세계행복 보고서를 기준으로 할 때 행복순위 1위인 국가는 노르웨이이고, 노르웨이의 행복점수는 10점 만점에서 7.537점이다. 2위는 덴마크로 7.522점이다. 3위는 아이슬랜드로 10점 만점 중 7.504점을 기록하였다. 10점 만점에서 7.5점 이상을 기록했다는 것은 이 나라 국민들이 평균적으로 매우 행복하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순위상으로 13위 미국부터는 행복점수 평균이 7점에 미치지 못하고 6점대로 떨어진다. 13위 미국은 6.993점이고, 31위 프랑스는 6.442점이다. 이 국가의 사람들은 대체로 행복하지만, 아주 행복하지는 않아 보인다.
46위 폴란드부터는 행복이 5점대로 떨어진다. 폴란드의 5.973을 시작으로, 51위 일본은 5.920, 그리고 55위 한국은 5.838점을 기록한다. 즉 순위로는 전 세계 상위 30% 안에 든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어디까지나 상대적 순위일 뿐이며, 행복점수 그 자체로 볼 때 한국인은 10점 만점 중 평균 5.8점 정도의 행복을 가진다. 즉 한국인은 딱 중간정도의 행복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아주 행복한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드물고, 대체로 행복한 사람들이 어느 정도 존재하며,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한국의 행복 점수(매년 약 5.8점 내외)는 한국의 경제력 순위와 매우 대조적인데, 2017년에 세계은행에서 발표한 한국의 국민 일인당 총생산 순위는 전 세계 191개국 중 29위(https://goo.gl/aecrFX)로 국민 일인당 매년 29,730달러(약 3천만원)의 생산력을 가진다. 구매력 기준 국민 1인당 총소득 순위는 이보다 더 높아서 세계 160개국 중 19위(https://goo.gl/UowFnM)이며, 29,010달러(약 3천만원)의 구매력을 가진다.
이제 우리는 올바른 질문을 할 수 있게 된다. 왜 한국은 국민 일인당 경제력 순위는 세계 최상위권인 것에 반해 행복 순위는 그것에 미치지 못하고, 경제력 점수(연봉 3천만원)는 매우 높은 측에 속하지만, 행복점수는 그에 미치지 못할까? 더 간단하게는 왜 한국인의 행복은 경제력에 미치지 못하는 걸까? 혹자들은 한국인이 왜 불행할까라고 질문하지만, 이 질문은 명백하게 잘못되었다. 우리는 불행하지는 않다. 그저 딱 중간정도의 행복 점수를 가질 뿐이다. 우리가 해야 하는 올바른 질문은 “왜 우리는 불행한가?”가 아니라,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면 행복해질 줄 알았고, 경제적으로 풍요해지기 위해 그렇게 노력했으며, 마침내 어느 정도 풍요로워 진 것 같은데 왜 생각했던 것보다 행복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