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상황에 따라 긍정 정서 표현을 자제할 줄 아는 사람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1월 12, 2022
in 연구스케치,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행복스토리
Share on Facebook

긍정 정서를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다. 모두가 슬퍼하는 장례식장에서 혼자 극단적인 긍정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사람이 과연 적절한가? 이런 사람이 정상으로 보이는가? 세월호 참사로 슬픔을 경험하여 전 국민이 애도하고 있을 때, 9/11 테러로 인한 슬픔으로 인해 전 세계가 애도할 때, 좋은 기분을 표출하면서 그런 일을 나와는 상관 없다는 것을 만천하에 공표하는 사람이 과연 적절하며, 정상으로 보이는가? 물론 전 세계적 아픔이 있는 시기에도 개인적으로 기분이 좋을 수 있고, 개인적으로 기쁜 일이 있을 수 있다. 문제는 그런 개인적인 긍정 정서를 그런 아픔이 있을 때 표현하는 것이 타이밍상 적절하냐는 것이다. 심리학적 연구의 결과는 이렇게 부정적 분위기와 불일치 하는 긍정 정서를 표출하는 것을 사람들이 부적절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동체 구성원들로부터 신뢰 있는 사람으로 인정받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시사점을 준다.

*참고문헌
Kalokerinos, E. K., Greenaway, K. H., & Casey, J. P. (2017). Context shapes social judgments of positive emotion suppression and expression. Emotion, 17(1), 169–186.

Tags: 공감공동체관계관계를 돈독하게 하기시민의식자제력좋은 관계처벌
Previous Post

젊은 시절의 고차원적 사고 능력과 알츠하이머

Next Post

부모의 과도한 통제는 공격성이 높거나 우울한 자녀를 만든다

Related Posts

[행복수업 연구소개] Give thanks, 오늘도 감사하셨어요?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행복수업 연구소개] Give thanks, 오늘도 감사하셨어요?

4월 29, 2022
89
‘하자’는 사람과 ‘하지 말자’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연구스케치

‘하자’는 사람과 ‘하지 말자’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3월 29, 2022
202
나르시시즘(자기도취) (3)
연구스케치

나르시시즘(자기도취) (3)

3월 28, 2022
84
Next Post

부모의 과도한 통제는 공격성이 높거나 우울한 자녀를 만든다

카테고리

  • 보고서스케치
  • 연구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인기콘텐츠

제15기 교사행복대학 4차 교육 현장 스케치

제15기 교사행복대학 4차 교육 현장 스케치

5월 25, 2022
59
2022-1학기 행복교육 심화워크숍 1차 현장 스케치

2022-1학기 행복교육 심화워크숍 1차 현장 스케치

5월 16, 2022
34
제15기 교사행복대학 3차 교육 현장 스케치

제15기 교사행복대학 3차 교육 현장 스케치

5월 10, 2022
94

추천링크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