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관점바꾸기] 변화 능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개발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7월 1, 2022
in 행복교과서
[관점바꾸기] 변화 능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개발
Share on Facebook

⏱️소요시간 : 45분

❓이 활동은 왜 필요할까요?

학생들의 “마인드셋”(신념)이 학교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도전(예, 배제나 희생)에 반응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이해하게 됩니다.

❓활동 전 생각해 보기

🐥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에 대해 떠올려 보세요.
🐥 이제 상대방의 변화 능력을 믿으면서 성장 마인드셋을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에 적용해 봅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은 때때로 나의 말을 듣지 않거나 나의 의견에 항상 동의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이 새로운 믿음이 상대방과 상호작용할 때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 이 활동이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 이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른 그룹의 사람들이나, 공동체를 보는 방식에서의 다양성, 형평성 및 포용성에 대한 고정된 사고방식에 대해 질문을 던져보게 할 수 있을까요? 이 토론에 적용해볼 수 있는 편견이나 신념을 떠올려 보세요. 예를 들어, 사람들이 편견을 극복하고 더 포용적인 사람으로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세요?

🗣️ 이렇게 해보세요!

💡준비물
– 성장 마인드셋에 관한 영상 1
– 화이트보드, 마커
– 학생 2명 당 활동지 1
– 학생 1명 당 포스트잇 3장(선택사항)

💡도입
– 학생들이 도착하기 전에 칠판에 다음 문장을 적습니다.
*남을 배제하는 사람은 바꿀 수 없다.
*왕따는 항상 스스로를 자책한다.
*어떤 사람들은 아둔하고 그들을 바꾸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PART1(10분)

1️⃣학생들이 교실에 들어오면 칠판에 적힌 문구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평가하도록 합니다.
(1-5점 척도: 1=매우 동의하지 않음, 5=전적으로 동의함)

2️⃣몇 명의 자원하는 학생에게 자신의 평가를 공유하도록 요청하거나, 스티커 메모를 사용하여 칠판의 각 문장 옆에 학생의 평가를 게시하도록 합니다.

3️⃣아래 질문을 사용하여 학생들과 짧은 토론을 합니다. 이 토론의 목적은 다른 사람을 배제하거나 자신을 희생자로 여기는 사람들에 대한 학생들이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분법적 사고에 도전하여 다음을 이해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a) 당신이 배제된 사람이라면, 그것은 변화할 수 없는 개인적 약점이나 당신의 어떤 부분 때문이 아닙니다.
(b) 당신을 배제하거나 희생시키는 사람들은 바뀔 수 있으며, 나쁜 사람들이 아니라 여러 동기요인을 통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배제할까요?
*피해자는 항상 피해자일까요?
*다른 사람을 배제시키는 사람이 지닌 공통적인 특징들은 무엇일까요?
*타인을 배제하는 사람이나 피해자가 변할 수 있을까요?

4️⃣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알려주세요. 오늘 우리는 다른 사람과 자신에 대한 믿음이 학교에서 다른 사람을 배제하거나 배제되는 것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보는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배울 것입니다.

5️⃣이렇게 질문하세요. 이 주제가 학생으로서의 삶에 어떻게 중요하거나 관련이 있을 수 있나요?

💡PART2(15분)

1️⃣이 “성장 마인드셋” 비디오를 시청하여 학생들에게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소개해주세요.
★영상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KUWn_TJTrnU

2️⃣질문 : 이 비디오의 성장 vs 고정사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사람들의 성격과 행동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실제로 성격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3️⃣학생들과 이러한 질문에 대해 토론한 후 연구자들은 우리가 실제로 성격을 바꿀 수 있으며 이러한 성장 사고 방식에 대한 믿음이 사회적 상호작용 중에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음을 알려주세요.

4️⃣질문 : 다른 사람 또는 피해자를 배제하는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가질 수 있는 “고정된”부정적인 신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성장 마인드셋을 반영하기 위해 이러한 믿음을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고정 마인드셋: 아무도 나를 좋아하지 않아.
*성장 마인드셋: 나는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어.

*고정 마인드셋: 나는 어디에서 속하지 못해.
*성장 마인드셋: 나는 내가 여기에 속해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무언가를 할 수 있어.

*고정 마인드셋: 그는 나쁜 사람이야.
*성장 마인드셋: 그는 내가 좋아하지 않는 일을 했지만, 그가 변할 수 없는 것은 아니야.

5️⃣학생들과 함께 성장 마인드셋 신념에서 한 항목을 선택하고, 학생이 이 신념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봅니다.

💡PART3(10~15분)

1️⃣성별, 인종, 학업성취도에 따라 이질적인 학생 작을 만들과 각 짝에게 하나의 활동지를 나눠줍니다.

2️⃣각 고정 마인드셋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열을 채우도록 학생들에게 요청하세요.

3️⃣여러 조에 성장 마인드셋 열에 작성한 아이디어를 학급 전체와 공유하도록 요청하세요.

💡마무리(5분)
학생들에게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인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해 다른 학생들이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요약하는 짧은 글을 쓰도록 합니다.

☘️ 이 활동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학생들이 학교에서 사회적 도전을 바라보는 방식은 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에 극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들이 자신(및 친구)이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면 사회적 투쟁(괴롭힘이나 배제와 같은)도 변화 가능하고 극복할 수 있다고 볼 가능성이 더 큽니다.

어린 청소년들이 자신이 무력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은 성장하고 적응할 수 있고, 그들에게 도전하는 동료도 변할 수 있습니다. 상황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그들이 느낄 수 있는 압박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사회 문제를 두려움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해결해야 할 과제로 더 명확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10대 그룹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에게는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믿음을 배운 청소년이 7개월 후 사회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더 잘 대처하고 몸을 더 차분하게 유지하며 학교생활을 더 잘 영위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참고문헌: Yeager DS, Trzesniewski K & Dweck CS (2013). An Implicit Theories of Personality Intervention Reduces Adolescent Aggression in Response to Victimization and Exclu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2(2), 263-274.

활동지다운로드

Previous Post

[관점바꾸기] 실버라이닝을 찾아서

Next Post

[비교하지 않기] 웃음나누기

Related Posts

행복의 측정
행복교과서

행복의 측정

4월 27, 2023
2.3k
행복 교육의 유의점과 궁극적 목표
행복교과서

행복 교육의 유의점과 궁극적 목표

1월 31, 2023
838
행복교육의 7가지 키워드
행복교과서

행복교육의 7가지 키워드

1월 31, 2023
1.4k
Next Post
Mobile Series

Mobile Series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