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관점바꾸기] 실버라이닝을 찾아서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7월 1, 2022
in 행복교과서
[관점바꾸기] 실버라이닝을 찾아서
Share on Facebook

⏱️소요시간 : 3주간 매일 10분씩

❓이 활동은 왜 필요할까요?

우리는 모두 학교나 직장에서 저지른 실수, 계획한 대로 되지 않은 저녁 시간 등 잘못된 일에 대해 반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떨 때는 그런 부정적 사건들을 너무 자주 떠올리는 탓에 우리의 삶이 불행과 실망으로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것들에 너무 집중하면 우리의 삶이 어두운 그림자로 뒤덮일 수 있으며 더 우울한 생각들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일이 잘못되었을 때에도 밝은 면을 바라보는 것은 낙천주의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낙천주의적 성향은 우울증 발병률 감소, 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상, 관계 만족도 향상 등과 관련이 있음이 연구를 통해 드러났습니다. 부정적인 경험에서 ‘실버라이닝을 찾자’는 말을 이해는 하면서도 자칫 지나친 낙천주의자가 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삶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사건들의 밝은 면보다는 어두운 면을 더 잘 발견해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활동은 삶을 바라보는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건강한 균형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부정적인 경험에 더 잘 대처하기 위해 사건에 대한 관점을 바꾸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이렇게 해보세요!

💡준비물 : 종이, 연필/펜
💡학생들과 이 활동을 하는 경우,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는 순간을 우리 모두 경험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해보세요.연구에 따르면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관점을 바꾸면 그러한 부정적 감정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학생들이 지금 이 순간에 당신의 삶이 즐겁고, 풍요롭고, 가치 있다고 느끼게 만드는 다섯 가지를 나열하게 해보세요.
예를 들어, 이러한 것들은 “건강한 상태”와 같이 일반적일 수도 있고 “수업 직전에 점심을 먹으며 친한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와 같이
구체적일 수도 있습니다. 이 첫 번째 단계의 목적은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도록 환기를 시키는 것입니다.

2️⃣다음으로, 학생들에게 가장 최근에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았거나 좌절, 짜증, 속상함을 느꼈을 때를 생각하게 합니다.

3️⃣학생들이 몇 문장으로 상황을 간략하게 글로 쓰도록 합니다.

4️⃣그런 다음, 이 상황의 밝은 면을 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세 가지를 나열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아침에 버스를 놓쳤을 수 있습니다. 이 상황의 밝은 면을 바라보는 세 가지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버스를 놓쳤지만, 버스를 타기 위해 달리는 동안 좋은 운동을 했습니다.
– 당신은 운 좋게도 10분 뒤에 또 다른 버스가 있는 도시, 또는 버스가 항상 정기적인 일정으로 운행되는 도시에 살고 있습니다.
– 10년 후, 당신은 오늘 아침에 일어난 일을 기억하지 못할 것입니다.

5️⃣ 학생들과 함께 이 활동을 하는 경우, 일정에 허락한다면 다음 3주간 동일한 활동을 할 것이라고 알려주세요. 일정이 허락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3주간 집에서 각자 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습니다.

6️⃣학생들에게 이렇게 질문해보세요. 부정적인 상황에 대해 더 넓은 시각을 갖게 된 지금은 그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게 되었는지?, 이 방법이 학생들에게 유용했는지?

☘️ 이 활동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삶의 밝은 면(특히 나쁜 상황의 밝은 면)을 바라보는 것은 자존감을 높이고 목표를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삶의 즐거움을 향상시켜 행복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실버라이닝 활동을 정기적으로 완료하면 인생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식하고 단점에 집착하기보다 어려운 상황에서 장점을 보는 습관을 들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연습을 하다 보면 삶의 어려움에 직면하더라도 밝은 면을 바라보는 것이 더 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3주 동안 매일 실버라이닝 찾기 및 목표 시각화 연습을 완료한 후 사람들은 이전보다 삶에 더 많이 참여하고 부정적인 생각을 덜 한다고 보고했습니다. 비관적인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특히 운동의 이점을 얻었고 나중에 우울 증상을 덜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2개월 후에 사라지는 것처럼 보였으므로 이 연습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문헌: Sergeant, S., & Mongrain, M. (2014). An online optimism intervention reduces depression in pessimistic individual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2(2), 263-274.

Previous Post

[행복 기초체력 키우기] 몰입하기

Next Post

[관점바꾸기] 변화 능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개발

Related Posts

행복의 측정
행복교과서

행복의 측정

4월 27, 2023
2.3k
행복 교육의 유의점과 궁극적 목표
행복교과서

행복 교육의 유의점과 궁극적 목표

1월 31, 2023
838
행복교육의 7가지 키워드
행복교과서

행복교육의 7가지 키워드

1월 31, 2023
1.4k
Next Post
[관점바꾸기] 변화 능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개발

[관점바꾸기] 변화 능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개발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