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권혁철, 김형용 (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 남성의 삶.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연구논문, 행복DB
Share on Facebook

최근 중년 남성 1인 가구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남성 1인 가구 중 4050세대는 2000년 기준 25.4%에 불과하였으나 불과 15년 만에 39.3%까지 증가하였다. 홀로 사는 남성 열 명 중 네 명이 청년이나 노년이 아닌 중년이라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 남성 1인 가구의 일반적 특성을 다인 가구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홀로 사는 이들이 어떠한 삶의 유형을 만들어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는 중년층 남성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 사이의 관계를 조명해 봄으로서 오늘날 이 집단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2016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 자료를 활용하여 4050세대 남성 9,364명(1인 가구:308명, 다인 가구:9,056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 및 계층 특성, 사회적 관계 그리고 주관적 행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층 남성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하며, 사회적 관계, 그리고 주관적 행복감이 모두 낮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중년 남성 1인 가구의 현상적 측면만을 보여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1인 가구는 주관적 행복감을 설명하는데 부정적인 효과를 갖지만,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나서는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 교육, 계층, 직업, 주거 요인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1인 가구는 오히려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변인이었다. 또한 중년남성 1인 가구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다인 가구에 비해 매우 단순하여, 소득과 사회적 관계가 1인 가구의 행복 수준을 상당부분 설명하지만, 다인 가구의 경우는 혼인상태와 직업지위 등 보다 다각적인 요인들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하지 않고 가족과 동거하지 않아도, 일정한 소득과 사회적 관계만 있으면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비교적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1인 가구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남성 1인 가구의 증가는 가족 형성에 따른 과도한 부담을 떠맡은 남성부양자 가족주의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사회의 중년층 남성은 가족의 사회계층을 유지하고자 하는 강력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책임감에서 일부 벗어난 1인 가구가 주관적인 행복도가 오히려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서 1인 가구에 대한 현상적 인식은 극복할 필요가 있다. 오히려 가족투자의 책임을 오로지 지고 있는 중년의 남성들이 가족 구성을 회피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보편적 복지가 필요한 것이다. 

 

Recently, one-person household among middle-aged men is showing a steep increase. While the age of 40~50 accounted for only 25.4% of one-person household men in 2000, but it has increased to 39.3% in 2015. It means that four out of ten one-person male households are middle-aged, not young nor o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is group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ther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types of life styles they are living with,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show that middle – aged one-person household men is socially and economically vulnerable, and has lower social relations and less happiness than other households. However, these results show only the phenomenal aspect of the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e-person households have a negative effect in explaining subjective happiness but have a positive effect after controlling socioeconomic factors. In other words, assuming that income, education, class, occupation, and residential factors are equal, one person household is a positive factor in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the factors determining the happiness of one-person male households are very simple compared to those of a multi-family household, and the degree of happiness of a household with income and social relationship is largely explained. From th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one-person household men can enjoy a relatively happy life with a certain income and social relationship even if they are not married and do not live with their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person male households seems to be related to strong family culture in S, Korea that is given an excessive burden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phenomenal percep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at need social support. Rather, universal welfare is needed to ensure that middle-aged males who are solely responsible for family investment do not let their families get away.

Tags: 남성의 행복중년 행복
Previous Post

황재원, 김계현 (2009). 상담일반 :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0(1): 57-71.

Next Post

김여흠, 이윤주 (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Related Posts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논문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5월 21, 2024
592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미디어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2월 29, 2024
433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미디어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1월 9, 2024
758
Next Post

김여흠, 이윤주 (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