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긍정 정서 북돋기(2) – 웰빙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조언과 활동들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오피니언, 행복스토리
Share on Facebook

Boosting Positive Emotions

Tips
& Activities for Wellbeing and Resilience

웰빙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조언과 활동들(2)

 

Go on your own Good mood hunt

직접 가는 좋은 기분(보물) 찾기


Look around your home for 3 things that
help you feel happy
– it
might be your favourite book, photo, drawing, soft toy or game. For older
children what activities do you like doing best at home that help change a bad
mood into a good one, such as reading, painting/drawing/craft, playing music,
kicking a football, hitting a tennis ball against a wall, developing dance
routines etc.?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3가지 일들을 집에서 찾아보자. 당신이 제일 좋아하는 책이 될 수도 있고, 사진, 그림, 푹신푹신한 인형 또는 게임이 될 수 있다. 조금 더 큰 아이들에게는 기분 전환을 위한 활동 중 제일 좋아하는 일들. 예를
들어 책 읽기, 그림 그리기나 만들기, 악기 연주, 축구나 캐치볼 같은 공놀이, 댄스 루틴 만들기 등이 있을 것이다.

 


Make a happy cube

행복 주사위 만들기


On each of the six sides draw and write
about one thing that makes you happy. When you are feeling down, roll your cube
to remind you of how to change your bad mood into a good mood.

주사위의 각 면에 나를 행복하게 하는 일을 한 가지씩 써 보자. 마음이
울적할 때 주사위를 굴려서, 나쁜 기분을 어떻게 좋은 기분으로 바꿀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상기시켜 보자..

 


Make a hand hopper

호퍼 핸드 만들기


Use an outline of your child’s hands and write down or ask each
other eight questions about positive emotions representing each finger, such as
what makes you calm, curious, proud, happy, excited, interested, surprised or
grateful. Then write eight answers.

아이 손의 윤곽을 따라 그려 보자. 그리고 나서 각 손가락에는
대표적인 긍정정서, 예를 들면 차분함, 호기심, 자랑스러움, 행복함, 신남, 관심있음, 놀라움, 감사
등의 정서에 대한 질문을 적고, 그 답을 적어 보자.

※ Hand
hopper
는 샌프란시스코 다리에 있는 Hopper’s
hand
에서 따온 아이디어이다. Hopper 라는 사람이,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이 다리 끝을 손으로 찍고 가는 것을 보고는 딱딱하고 차가운 쇠사슬을 만지는 것보다는 더 재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리 끝에 손 모양의 모형을 올려두었다. 지금은 수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달리기를 하며 그 표식에
손을 찍곤 한다.


 

Boosting positive emotions challenge

긍정 정서 살리기 챌린지


How many of the following emotions can you
feel over the next week? When we are feeling good, stop to notice how you are
feeling
– this
makes your good feelings last longer and also helps you to better understand
how to boost those positive feelings. Keep a record over the week when you feel
these positive feelings:

 

한 주 동안 다음의 정서 중 몇 개를 느낄 수 있을까? 좋은
기분이 들 때, 잠시 멈춰서 그 기분에 집중해 보자. 이
행동은 좋은 기분이 더 오래 갈 수 있게 해 주며, 해당 긍정정서를 어ᄄᅠᇂ게 더 북돋을수 있을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일주일동안 이러한 긍정정서를 느끼는 때를 기록해 보자.


순번

상황

1

What surprise news or good news excited you?

어떤 깜짝 뉴스 (혹은 좋은 소식)이 당신을
신나게 했나요?

2

What new thing did you learn that was difficult to do
but you felt pleased when you finally
‘got
it
’?

‘하기 어렵지만 성공하면 만족스러운’ 것을 새로 배웠나요?

3

What’s one
thing that made you laugh?

당신을 웃게 한 것은 무엇인가요?

4

Who makes you feel grateful and what did they do?

당신이 감사함을 느끼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그들은 무엇을 했나요?

5

What’s one
thing you did this week that really interested you?

이번 주 당신이 관심있었던 일은 무엇인가요?

6

What’s one
thing you did this week that you are proud of?

이번 주에 했던 일 중에 자랑스러운 행동은 무엇인가요?

 

 

 

 

Sing, move and groove time

노래하고, 움직이고, 리듬
타는 시간


Family or group singing and movement lifts
everyone
’s mood.
Take 5-10 minutes as a family or class for sing, move-and-groove time playing
songs that are happy, inspiring, celebratory, joyous or just silly. I
’m sure you will have your own family favourites but some suggestions
are
“Happy” (Pharrell
Williams),
“Don’t Worry, Be
Happy
” (Bobby McFerrin); “Can’t Stop the Feeling” (Justin Timberlake), “If You’re Happy and You Know It”, “Nutbush City Limits” (Ike and Tina Turner), “We Will Rock You”
(Queen), “Good Vibrations” (The Beach Boys), “Funky Town (Lipps Inc), “The Macarena” (Los del Rio) or “The Hokey Pokey”. There are some great
songs, such as one family
’s hilarious lockdown-themed
adaptation of a Les Miserables song.

 

가족끼리, 혹은 동료들 끼리 함께 노래하고 움직이는 것은 모두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 준다. 가족끼리나 혹은 학급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노래하고, 움직이고, 리듬을 타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행복한 노래,, 영감을 주는 노래, 축하 노래 또는 그저 우스꽝스러운 노래를 해보자. 저마다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곡들이 있겠지만 몇 가지 추천해 보자면, “Happy” (Pharrell Williams), “Don’t Worry, Be Happy” (Bobby McFerrin); “Can’t Stop the Feeling” (Justin Timberlake), “If You’re Happy and You Know It”, “Nutbush City Limits” (Ike and Tina Turner), “We Will Rock You” (Queen), “Good Vibrations” (The Beach Boys), “Funky Town (Lipps Inc), “The Macarena” (Los del Rio) , “The Hokey Pokey” 등을 들 수 있겠다. 이 외에도 한 가족이
격리 테마로 재밌게 각색하여 부른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노래들처럼, 아주 좋은 곡들이 많다.

 


Laughter is the best medicine

웃음이 보약이다


Currently there are lots of memes,
cartoons, jokes, funny songs and video clips about COVID-19. One of my
favourites is
“If the
schools are closed for too long, the parents are gonna find a vaccine before
the scientists!
” Discuss with older children why times
of adversity like this always produce a range of jokes and cartoons. Seeing the
small funny side of a bad situation helps us to cope better and also connects
us with others.

현재 코로나 사태와 관련된 많은 밈(짤)과 만화, 농담, 웃긴
노래들과 영상들이 존재한다. 개인적으로 최애하는 농담 중 하나는 “학교가 너무 오래 문을 닫으면 학부모가
과학자들보다 더 빨리 백신을 개발할 것이다!”라는 농담이다. 조금
더 큰 아이들과는 “왜 이런 역경들은 항상 다양한 농담거리들을 만들어낼까?”에 대해 이야기해볼 수도
있겠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재미있는 면을 찾아 내 보는 행동은 우리로 하여금 상황에 더 잘 대처할 수
있게, 그리고 타인과의 유대감을 더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

 


Play the What if? Game

만약에 게임 하기


Each member of the family takes turns to
make up something that is downright silly and ridiculous like:

가족의 각 구성원이 번갈아 가며 아래와 같이 완전히 어이없고 웃긴 상황들을 가정해 보자.

 

순번

제시 상황

1

What if your hair is made of spaghetti?

만약 우리 머리가 스파게티라면?

2

What if the carpet was made of honey?

만약 카펫이 꿀로 만들어졌다면?

3

What if a part of you was robotic?

만약 몸의 일부가 로봇이었다면?

4

What if your bed turned into a rocket ship?

만약 침대가 우주선으로 변했다면?

5

What if your dog turned into a lion cub?

만약 우리 강아지가 아기 사자로 변했다면?

6

What if you lived in a gingerbread house?

만약 과자 집에서 살고 있었다면?

7

What if you could walk on the ceiling?

만약 천장에 걸을 수 있다면?

8

What if your sister or brother were made out of chips?

만약 우리 형제(자매)가 과자라면?

9

What if a gummi bear was as big as you?

만약 곰돌이 젤리가 나만큼 컸다면?

 

 

 

Older children could collect the best of
the family
’s ideas
to make them into an illustrated family book.

더 큰 아이들과는 가족의 아이디어 중 제일 좋은 것들을 모아 우리 가족만의 그림책으로 만들 수도 있다.

 


Feelings are contagious


감정은 전염된다


Be aware of how much influence you have on
the emotions and moods of those around you. Even though it can be a challenge,
try to be calm. Also remember that everyone is trying to cope with their own
anxiety and frustration at the moment, so be kind and understanding towards
others (as well as yourself). Find time to exercise
– walk, run, do yoga, Pilates or
stretches, etc. One of my favourite apps for mindfulness is calm.com with a
great daily 12-minute practice that has a new positive message each day.

 

당신의 정서와 기분이 얼마나 주위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지에 주목하자.
비록 어려울 수 있겠지만, 침착함을 유지해 보자. 그리고
우리 모두가 지금 이 순간 각자의 불안감과 좌절감을 감당하려 노력하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며, 다른 이들에게(그리고 나 자신에게도) 친절을 베풀고 이해심을 갖자. 걷거/뛰기나 요가, 필라테스를
혹은 간단한 스트레칭이라도 좋으니 운동하는 시간을 갖자. 필자가 가장 애용하는 마음 챙김 앱은 ‘calm.com’으로, 긍정적인 메시지 아주 좋은 12분 마음 챙김 연습을 제공한다.

 

※출처: https://www.pearson.com/

   

Previous Post

긍정 정서 북돋기(1) – 웰빙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조언과 활동들

Next Post

무심코 던진 피드백이 의도치 않은 효과를 가져오지 않게 하려면

Related Posts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카드뉴스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11월 29, 2024
529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카드뉴스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11월 29, 2024
628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카드뉴스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2월 20, 2024
1k
Next Post

무심코 던진 피드백이 의도치 않은 효과를 가져오지 않게 하려면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