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Vol.68 신학기 학생들과 함께 이벤트 캘린더 만들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3월 31, 2022
in 뉴스레터
Share on Facebook

“행복은 기쁨의 강도(intensity)가 아니라 빈도(frequency)다.”

행복 연구를 주도한 심리학자 에드 디너(Ed Diener) 교수가 강조하는 행복의 법칙입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어쩌다 한 번 강한 행복감을 경험하는 것보다는 소소한 즐거움이라도 자주 경험하는 것이 행복에 유리하다고 말합니다. 거창한 계획이 아니더라도 일상 속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는 행복의 요소들을 곳곳에 배치해놓고 의식적으로 경험을 해보는 것이 아이들의 행복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습니다(Biegel, G., 2017). 다가오는 새학기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이벤트 캘린더를 만들어 보면서 관계도 돈독하게 하고, 일상 속 행복을 찾을 수 있는 빈도를 더 많이 만들어주는 것은 어떨까요?

● 소요시간

약 10분. 언제든지 실행할 수 있으며 바쁜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시도해보기에 좋아요.

● 이 활동은 왜 필요할까요?

성인과 마찬가지로 아이들도 스트레스로 인한 중압감을 느끼곤 합니다. 그럼에도 학교와 학원 등의 일과로 바쁜 아이들은 적극적으로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감정적으로 돌보는 것에 소홀할 수 있죠. 자기 공감(Self-compassion)은 아이들이 스스로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상 속에서 긴장을 낮추고 즐거운 경험의 빈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아이들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이 활동을 활용해보세요!

연구에 따르면 자신을 돌보고 친절하게 대하는 습관은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줄이고 호기심과 감사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친절한 성인으로 자란 사람들은 파트너와 더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심각한 질병과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할 때 더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렇게 해보세요!

공감(Compassion)은 고통을 알아차리고 그것을 경감시키기 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우리 자신을 포함해서 말이죠.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힘든 일이 생겼을 때, 슬플 때 자신이 힘들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할 수도 있고, 당장 해야 할 일들을 완수해나가느라 자신의 고통을 무시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자기 공감(Self-compassion)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한 가지 방법은 ‘즐거운 이벤트 달력’을 사용하여 자신의 관심사를 탐색하고 즐거운 활동에 참여할 시간을 갖도록 격려하는 것입니다.

활동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아이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독려해주세요.(예시 활동지 참고)
2) 이 리스트 중 캘린더에서 어떤 활동을 할지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이벤트 캘린더’를 만들어보세요.
3) 캘린더를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놓고 완료되면 스티커나 확인 표시를 추가하여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활동의 효과는 무엇일까요?

자기 공감은 우리가 힘든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기 자신을 아끼는 행동과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어려움에 처한 자기 자신에게 친절을 베푸는 행동과 생각을 한다고 생각하면 쉬울 거예요. 즐거운 이벤트 캘린더는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긍정적인 경험과 행복을 느끼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을 확보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궁극적으로 자기 공감은 아이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고,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것에도 더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거예요.

● 관련 연구

Diener, E., Sandvi, E., & Pavot, W. (1991). Happiness is the frequency, not the intensity, of positive versus negative affect.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 (Eds.), International Seri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1.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119-139). Elmsford, NY, US:Pergamon Press

이 연구에서는 행복 또는 주관적 삶의 만족감이라는 변수는 긍정적/부정적 정서의 ‘강도(intensity)’에 비해 감정의 ‘빈도(frequency)와 지속기간(duration)’과 더 크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Edwards, M., Adams, E. M., Waldo, M., Hadfield, O. D., & Biegel, G. M. (2014). Effects of a mindfulness group on Latino adolescent students: Examining levels of perceived stress,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39(2), 145-163.

중학생들은 ‘청소년을 위한 스트레스 감소 워크북’을 기반으로 한 8개 세션의 마음챙김 코스에 참여했습니다. 이 코스의 일부로 ‘즐거운 이벤트 캘린더’를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중학생은 활동을 후 활동 전에 비해 자기공감(Self-compassion)과 마음챙김(Mindfullness)이 더 커졌고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덜 느끼게 되었습니다.

Biegel, G. (2017). The stress reduction workbook for teens: Mindfulness skills to help you deal with stress. Oakland, CA: New Harbinger.

이 워크북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마음챙김 활동들을 제공합니다. 이 활동들은 ‘즐거운 이벤트 캘린더’를 만드는 것을 포함하여 자신의 힘든 마음을 알아차리고 친절과 보살핌으로 자신을 대하는 것을 연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벤트-캘린더_활동지다운로드

Previous Post

Vol.67 제50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 현장스케치

Next Post

Vol.68 인도의 행복교육

Related Posts

행복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행복 ON’ 시범운영 교원 모집
뉴스레터

행복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행복 ON’ 시범운영 교원 모집

2월 19, 2025
502
제 21기 교사행복대학 교육생 모집
뉴스레터

제 21기 교사행복대학 교육생 모집

1월 9, 2025
527
인생을 바꾸는 행복 습관 학교, 오늘의 행복
뉴스레터

인생을 바꾸는 행복 습관 학교, 오늘의 행복

12월 19, 2024
423
Next Post
Vol.68 인도의 행복교육

Vol.68 인도의 행복교육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