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연구참여자 모집

    연구참여자 모집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행복해지고 싶다면 반드시 이 연습을 하세요!”

    “행복해지고 싶다면 반드시 이 연습을 하세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3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3

    숨기지 않아도 괜찮아요.

    숨기지 않아도 괜찮아요.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어느 정도가 나를 행복하게 할까? ‘행복의 온도’

    어느 정도가 나를 행복하게 할까? ‘행복의 온도’

    둘 중 하나 살 수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둘 중 하나 살 수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사랑받지 못한대도, Yes I’m nude

    사랑받지 못한대도, Yes I’m nude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18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18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1분레시피 📒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행복수업 사례 모음

    1분레시피 📒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행복수업 사례 모음

    제53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 현장스케치

    제53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 현장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연구참여자 모집

    연구참여자 모집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행복해지고 싶다면 반드시 이 연습을 하세요!”

    “행복해지고 싶다면 반드시 이 연습을 하세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3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3

    숨기지 않아도 괜찮아요.

    숨기지 않아도 괜찮아요.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어느 정도가 나를 행복하게 할까? ‘행복의 온도’

    어느 정도가 나를 행복하게 할까? ‘행복의 온도’

    둘 중 하나 살 수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둘 중 하나 살 수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사랑받지 못한대도, Yes I’m nude

    사랑받지 못한대도, Yes I’m nude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18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18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1분레시피 📒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행복수업 사례 모음

    1분레시피 📒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행복수업 사례 모음

    제53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 현장스케치

    제53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 현장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지식수준과 안목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연구스케치, 행복스토리
Share on Facebook

지식수준과 안목
: 전문가의 범주화와 초보자의 범주화

 

 

그림 1. 세상에 있는 것들을 어떻게 범주화하는지는 그 사람의 전문지식 수준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아는 만큼 보인다’, ‘견문을 넓혀야 한다’라는 말씀을 자주 하신다. 친숙한 말이기에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이 의미하는 속뜻을 생각해보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말임을 알 수 있다.
  가능한 한 가지 해석은 사람이 어떤 대상에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 사전 지식을 사용하여 그 대상을 정말 그러한지 확인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경복궁에 갔을 때, ‘경복궁이 조선왕궁이다’ 정도로 알고 가는 사람은 궁궐의 전체적인 것 정도만 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조선왕궁의 처마에는 악귀를 막아준다고 알려진 잡상들이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가장 앞에 사람이 있고, 그 뒤를 원숭이 등의 동물이 따른다. 가장 앞에 있는 사람은 삼장법사(현장법사)이고, 원숭이는 서유기에 등장하는 손행자(손오공)이다.’라는 것을 알고 간다면, 경복궁의 처마에 그런 것이 있는지 꼭 확인하고자 할 것이다.
  이 말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은 Chi, Feltovich와 Glaser(1981)라는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한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가 가진 지식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지는데, 이 경우 ‘아는 만큼 보인다’함은 지식의 수준에 따라 세상을 범주화(categorization)하는 방식이 달라진다는 의미이다(그림-1). 범주화란 유사한 대상 ․ 사건 ․ 사람들을 동일한 범주에 포함시키는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을 의미한다. 전문지식의 유무는 바로 이 ‘무엇이 유사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에 영향을 미친다.

 

 

 


그림 2. 물리학과 학부생들(초보자)은 여러 가지 물리학 문제들을 외적 유사성에 따라 판단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들은 물리학과 학부생들과 물리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이 여러 가지 물리학 문제들을 제시한 후, 같은 유형으로 볼 수 있는 문제들을 하나의 범주로 묶는 범주화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그림-2는 이 연구에서 사용한 문제와 학부생들(초보자)이 범주화한 것의 예를 보여준다. 그림-2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학부생들은 겉으로 드러난 형태의 유사성에 따라 문제를 범주화하였다. 그림-2A는 삼각형이 있는 것들을 같은 유형의 문제로 범주화한 것의 예이고, 그림-2B는 같은 원반 모양이 있는 것들을 같은 유형의 문제로 범주화한 것의 예이다.

 

 

 


그림 3. 물리학과 대학원생들(전문가)은 여러 가지 물리학 문제들을 동일한 공식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러나 대학원생들의 범주화는 확연히 달랐다. 그림-3은 이 연구에 참여한 물리학과 대학원생들의 범주화를 보여준다. 학부생들과 다르게 전문적으로 물리학 지식을 쌓은 대학원생들은 문제의 외적 형태가 아닌 내적 본질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다시 말해, 대학원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물리학적 공식의 유사성에 따라 문제를 범주화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림-3A는 ‘에너지 보존 법칙(Principle of conservation energy)’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같은 유형의 문제로 분류한 것의 예이며, 그림-3B는 ‘뉴턴의 제2법칙(Newton’s second law)’ 혹은 ‘가속도의 법칙’이라고 알려진 것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같은 범주로 분류한 대학원생의 예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사람이 가지는 관점에 전문지식의 수준이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것에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전문가들은 초보자들과 비교할 때 대상의 겉모습을 보고 판단하기 보다는 대상의 내적 본질을 보고 판단할 경향성이 높다는 것을 외적 형태 적용 범주화와 공식 적용 범주화를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이렇게 바꾸어 보는 것은 어떨까?

 

 

아는 만큼 전혀 다른 세상이 보인다.

 

*더 알고 싶다면,

Chi, M. T., Feltovich, P. J., & Glaser, R. (1981). Categorization and representation of physics problems by experts and novices. Cognitive Science, 5(2), 121-152.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502_2

 

Classical Study Series 

Previous Post

절정과 대미: 일화 평가에 있어서 절정-대미 효과

Next Post

행복과 장수: 수녀님들의 정서표현과 수명

Related Posts

어느 정도가 나를 행복하게 할까? ‘행복의 온도’
카드뉴스

어느 정도가 나를 행복하게 할까? ‘행복의 온도’

9월 27, 2023
44
둘 중 하나 살 수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카드뉴스

둘 중 하나 살 수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9월 14, 2023
117
사랑받지 못한대도, Yes I’m nude
카드뉴스

사랑받지 못한대도, Yes I’m nude

8월 31, 2023
144
Next Post

행복과 장수: 수녀님들의 정서표현과 수명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