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청소년의 독서 선호도와 독서에 대한 해석수준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인 독서와 독서량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7월 15, 2021
in 행복DB,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Share on Facebook

 

청소년의 독서 선호도와 독서에 대한 해석수준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인 독서와 독서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Interactions of Reading Preferences and Reading Construal Levels on Reading Continuity and Amount of Reading 

  

초록

사람들은 과업을 수행하는 이유(추상적 해석)에 대해 고민한 후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경우도 있고, 과업을 수행하는 방법(구체적 해석)에 대해 고민한 후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경우도 있다. 이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라는 과업을 수행하게 하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았다. 먼저 청소년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독서 선호도를 조사한 후,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의 절반에게는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추상적 해석)에 대해 써보게 하였고, 다른 절반에게는 독서를 하는 방법(구체적 해석)에 대해 써보게 하였다. 그 후, 참여한 학생들에게 6주 간 독서를 하면서 매주 1회(총 6회) 독서활동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 보고서는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요일, 한 주간 독서한 총 시간(분)을 기술하게 되어 있었다.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독서하는 이유를 고민하는 조건보다 독서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조건에서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사람의 수가 많았다. 2) 독서 선호도가 낮은 집단은 독서하는 방법을 고민할 때가 이유를 고민할 때보다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날 수가 많았지만,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은 독서하는 이유를 고민할 때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날수가 많았다. 3) 독서하는 이유를 고민하는 것은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더 오랜 시간 독서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과업 선호도가 낮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시작하고 지속하는 것에는 과업 수행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유익하지만, 과업 선호도가 높거나 과업을 이미 시작한 사람의 경우에는 과업 수행의 이유를 고민하는 것이 과업 성과 극대화에 유익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업선호도 #과업성과 #청소년 #해석수준(추상적vs. 구체적) #독서


People achieve great performances by either contemplating the reason they are performing the task (abstract interpretation) or the methods used in performing the task (concrete interpretation). What may 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study explore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based on a reading task conducted among adolescent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ding preferences of a group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of high and low reading preferences. Second, one half of each group was asked to write about why reading is necessary, and the other half, about how to read. Finally,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nd submit a reading report once a week for a period of six weeks (i.e., six times). The reading report included the days of the week when the participants read for at least 20 minutes a day, and the total amount of time they read in a week.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1) More participants read for at least 20 minutes a day from the group who thought about how to read compared with the group asked about why they read. 2) In the group with low reading preferences, those who thought about how to read had more days of reading for at least 20 minutes compared with those who thought about why they read; however, in the group with high reading preferences, those who thought about why they read had more days of reading for at least 20 minutes. 3) Thinking about why they read were motivated to rea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those who have low preferences for a certain task to start and continue the task if they contemplate about the methods of performing the task. For those who have high preferences for a certain task or had already started the task, it is more effective to contemplate about why they are performing the task, to maximize task performance.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extending the study.

 

#Task preference #Task performance #Adolescent #Construal level(abstract vs. concrete) #Reading 


이국희, 김은미, 최인철, & 한다혜. (2020). 청소년의 독서 선호도와 독서에 대한 해석수준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인 독서와 독서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학연구, 39(1), 5-37. 


 

Tags: Goal목표
Previous Post

Estimating quality of life with biomarkers among older Korean adults: A machine-learning approach

Next Post

유머는 부정적 생애사건이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화한다

Related Posts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논문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5월 21, 2024
593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미디어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2월 29, 2024
433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미디어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1월 9, 2024
759
Next Post

유머는 부정적 생애사건이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화한다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