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행복한 사람이 이타적이다.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오피니언, 행복스토리
Share on Facebook

행복한 사람들과 이타적 행동
: 불행한 사람들이 동병상련을 느낄까?

 

 

 

 

 

  전철과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자리에 앉아 있다 보면, ‘너는 센 머리 앞에 일어서고 노인의 얼굴을 공경하며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니라’(레 19:32)라는 성경의 가르침이자, 한국 문화의 중요한 덕목을 지키기 어려운 순간을 맞이한다. 나이 지극한 할머니가 타신 걸 봤고, 눈도 마주쳤다. 일어설까 말까, 다른 사람이 일어서지 않을까, 다른 사람이 일어서 줬으면 좋겠다, 그냥 못 본 척할까. 그리고 내가 일어설 수 없는 온갖 핑계를 만들어낸다.

​
  이전에는 누구보다 먼저 벌떡 일어나 양보해 드리곤 했는데, 오늘 왜 이렇게 누구에게 고백하기도 부끄러운 고민을 하게 되었을까? 혹시 그날 여러분도 힘든 일을 겪지 않았는가? 아니면 몸이 아프거나 감기 기운이 있지 않았는가? 아니면 전날 야근을 너무 늦게까지 하느라 피곤해서 도저히 일어설 수 없지 않았는가? 분명 그랬을 것이다. 그리고 이 대목에서 동병상련(同病相憐)에 대한 우리의 상식 혹은 통념을 점검해보자.

 

-아픈 사람이 아픈 사람 마음을 알기에 도와줄 수 있다.

​
-불행한 사람들이 다른 불행한 사람을 돕는 것이지, 행복한 사람들은 불행한 사람 마음을 모른다.

 

  위의 상식이 사실이라면 왜 우리는 ‘센 머리’ 앞에서 일어서지 못했을까? 그것은 바로 이 상식이 틀렸기 때문이다.
  다양한 과학적인 연구의 결과들은 불행한 사람보다 행복한 사람들이 더 이타적이고, 공동체를 위한 친사회적 행동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① 행복한 사람들이 어려운 일을 겪는 사람들에게 미소와 함께 먼저 다가가고, 협력한다(Gray, Parkinson, & Dunbar, 2015).

 

② 행복한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보다 이타적 행위를 통해 동료와 더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다(Dutton, Roberts, & Bednar, 2010).

 

③ 행복한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보다 동료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행동을 많이 하며, 이에 따라 공동체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Lilius et al., 2008).

 

④ 행복한 사람들은 불행한 사람들보다 동료를 도와줌으로써 동료로 하여금 공동체에 대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높여준다(Kanov et al., 2004).

 

⑤ 행복한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보다 공동체의 일에 더 헌신적이다(Lilius et al., 2011).

 

⑥ 행복한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보다 업무 의욕과 참여도가 높고, 생산적이다(Bakker, 2011).

 

⑦ 행복한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보다 자신에게 돌아올 이익과 관계없이 더 질 높은 고객 서비스를 제공한다(Barsade & Gibson, 2007).

 

  불행한 사람들은 어떨까? 불안, 우울, 상실감, 소외감 등을 느끼는 불행한 사람들은 동병상련을 느끼기는커녕 더 이기적으로 행동하게 만들고, 신경이 날카로워 지며, 사람과의 관계보다는 물질을 추구하게 만들며,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한다(Mor & Winquist, 2002).

​
  따뜻하고, 건강한 사회는 불행한 사람보다 행복한 사람이 많은 사회에서 시작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 수 있을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조금 힘들더라도 행복한 사람처럼 행동하는 것이다(Reis et al., 2000). 즉 나도 너무 힘들어 누군가를 도와줄 형편이 아니지만, 그래도 한 번 돕는 것을 선택해 보는 것이다(자율성 충족). 나도 너무 힘들지만, 자리를 한 번 양보해보고, 할머니로부터 고맙다는 인사를 받아보는 것이다. 나도 누군가에게 기여할 수 있고, 의미 있는 할 수 있는 사람임을 스스로 입증해보는 것이다(유능성 충족). 내 일도 정말 바쁘고 힘들지만, 시간을 정해서 한 번 도와보는 것이다. 내가 할 공부도 아직 많이 남았지만, 한번 도와보는 것이다(좋은 관계 충족). 다른 사람을 도와주면서 느끼는 보람과 함께 다른 사람에게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그 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일과 공부의 어려운 측면에 풀리는 경험까지 덤으로 얻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내가 베푼 호의가 나에게 더 큰 호의가 되어 돌아올 것이다(행복이 또 다른 행복을 불러옴).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곧 후히 되어 누르고 흔들어 넘치도록 하여 너희에게 안겨 주리라
-누가복음 6장 38절

 

 

*더 알고 싶다면,

 

Bakker, A. B. (2011). An evidence-based model of work engagemen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0(4), 265-269.

 

Barsade, S. G., & Gibson, D. E. (2007). Why does affect matter in organizations? Th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1(1), 36-59.

 

Dutton, J. E., Roberts, L. M., & Bednar, J. (2010). Pathways for positive identity construction at work: Four types of positive identity and the building of social resourc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5(2), 265-293.

 

Gray, A. W., Parkinson, B., & Dunbar, R. I. (2015). Laughter’s influence on the intimacy of self-disclosure. Human Nature, 26(1), 28-43.

 

Kanov, J. M., Maitlis, S., Worline, M. C., Dutton, J. E., Frost, P. J., & Lilius, J. M. (2004). Compassion in organizational lif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7(6), 808-827.

 

Lilius, J. M., Kanov, J. M., Dutton, J. E., Worline, M. C., & Maitlis, S. (2011). Compassion revealed: What we know about compassion at work (and where we need to know more). In G. M. Spreitzer & K. S. Cameron (Eds.).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pp. 273-287),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Lilius, J. M., Worline, M. C., Maitlis, S., Kanov, J., Dutton, J. E., & Frost, P. (2008). The contours and consequences of compassion at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2), 193-218.

 

Mor, N., & Winquist, J. (2002). Self-focused attention and negative affect: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8(4), 638-662.

 

Reis, H. T., Sheldon, K. M., Gable, S. L., Roscoe, J., & Ryan, R. M. (2000). Daily well-being: The rol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4), 419-435.

 

HappyFinder Column 

Previous Post

집중하는 힘_2장

Next Post

매일 반복하는 일상의 중요성_Series 1

Related Posts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카드뉴스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11월 29, 2024
529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카드뉴스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11월 29, 2024
628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카드뉴스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2월 20, 2024
1k
Next Post

매일 반복하는 일상의 중요성_Series 1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