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호기심의 조건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오피니언, 행복스토리
Share on Facebook

호기심의 조건

 

 

 

 

 

 

  호기심(好奇心; curiosity)이란 무엇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좋아하거나 모르는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 곧 호기심이다(유의어로는 흥미, 관심 등이 있음). 그러면 사람들은 언제 새롭고 신기하다고 느끼는가? 또 언제 모르는 것을 더 알고 싶어지는가? 어떤 사람들은 이 질문에 대해 ‘무엇인가에 대해 모른다고 느낄 때 새롭고 신기하다고 느끼고, 더 알고 싶어진다’고 답할 수 있다. 즉 호기심의 본질을 ‘모름’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이 대답도 호기심의 원천을 완전히 설명하지는 못한다. ‘그렇다면 언제 모른다는 것을 알게 되는가?’라는 질문에 아직 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이 질문에 ‘모르기 때문에 모른다’라는 답하는 것은 ‘나는 생각이 없다. 왜냐하면 아무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라는 말처럼 순환논리의 오류이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무지’의 상태, 혹은 백치상태는 호기심의 원천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라. 정말 아무것도 모르면, 어떤 상태가 되겠는가? 아무것도 모르는데 궁금증이 생길까? 아무것도 모르는데, 머릿속이 새하얀데 뭔가가 떠오르겠는가? 돌려서 말하지 않겠다. 뭔가를 알고 싶어 하는 욕구, 즉 호기심을 가지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뭔가 좀 알고 있어야 한다. 어려운 말로 ‘호기심의 원천은 정보의 간극을 메우려는 욕구’에서 나온다. 내 머릿속에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래서 한 정보와 다른 정보 사이의 거리(정보의 간극)을 인지할 수 없다면, 호기심도 없다[1].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January 11, 1842 – August 26, 1910)도 그의 저서 《심리학의 원리》에서 “구체적인 지적 호기심과 가장 밀접한 과학적 호기심은 음악과 관련된 뇌 부위가 불협화음에 반응하듯이 지식의 비일관성 혹은 간극에 기인한다”고 말했다[2]. 다시 말해 호기심은 서로 다른 범주라고 알려진 정보를 하나로 연결시키고 싶을 때, 상반되는 주장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그 주장을 연결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놓고 싶을 때,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찾고 싶을 때 발생한다.

 

  정보간극이론(지식간극이론이라고도 부름, Information/Knowledge gap theory)은 이러한 현상을 잘 설명해준다[1, 3]. 이 이론에 따르면, 지식의 간극은 일종의 지적 박탈감을 발생시키고 사람들은 이 간극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정보탐색(Information seeking)을 시작한다. 이처럼 호기심은 지식(정보)의 간극에 주의를 기울일 때 생긴다. 정보간극이론은 무지(無知)가 호기심의 원천이 아니라, 오히려 뭔가 좀 알고 있을 때 호기심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무엇인가 좀 알게 되면, 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 알게 되는데, 그 박탈감을 채우기 위해 호기심이 발생하고 공부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보간극이론은 호기심을 가로 막는 거대한 벽이 바로 무지(無知)라고 말하고 있다. 더 정확하게는 모른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즉 무엇을 모르는지를 알지 못하는 상태가 호기심을 막는 궁극적인 장벽이다. 반면 공부를 하여 뭘 모르고 있었는지를 알게 되면, 여기서 호기심이 발생되고, 자발적인 지적 탐구가 시작된다. 지금 질문이 없는가? 뭔가 잘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공부할 의지가 없는가? 공부가 재미없는가? 공부에 소질이 없다고 느껴지는가? 아직 공부를 충분히 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부를 통해 뭔가 질문이 생기고, 흥미가 생긴 상태, 즉 호기심이 충만해진 상태는 행복과도 연관된다. 긍정 정서를 측정하는 문항 중 하나가 바로 뭔가에 호기심을 느끼는 상태(interested)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3]. 또 독서는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느끼는 행복보다 높은 수준의 행복을 주는 활동일 뿐 아니라[4], 삶에 꼭 필요한 자원인 재미(Pleasure)와 의미(Meaning)를 동시에 주는 활동인데[5], 이는 독서가 호기심을 유발하고, 충족시키는 과정을 끊임없이 제공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배우고 또 배우니 아는 것도 늘어가지만, 사실 모르는 것이 더 늘어난다. 그래서 계속 배우게 된다. 그래서 소크라테스(Socrates; c.470 – 399 BC)같이 뛰어난 지혜자도 이렇게 고백할 수밖에 없었다. “내가 아는 것은 내가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I know that I know nothing).”[6] 공부를 안 하면 다 안 것 같다. 혹시 책을 읽을수록 아는 것이 많아져서 더 이상 읽을 게 없어 질까봐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걱정하지 말라. 책을 읽을수록 읽을 책이 점점 늘어날 것이다. 나중에는 읽을 책의 목록이 너무 많아서 우선순위를 정해야 할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알면 궁금해진다.

 

 

[1] Loewenstein, G. (1994). The psychology of curiosity: A review and reinterpret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6(1), 75-98.

​
[2]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 1. NY, US: Henry Holt and Company.

​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 2. NY, US: Henry Holt and Company.

​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 3. NY, US: Henry Holt and Company.

​
[3] Gottlieb, J., Oudeyer, P. Y., Lopes, M., & Baranes, A. (2013). Information-seeking, curiosity, and attention: computational and neural mechanisms.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7(11), 585-593.

​
Litman, J. (2005). Curiosity and the pleasures of learning: Wanting and liking new information. Cognition & Emotion, 19(6), 793-814.

​
[4]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
[5] Killingsworth, M. A., & Gilbert, D. T. (2010). A wandering mind is an unhappy mind. Science, 330(6006), 932-932.

​
[6] Choi, J., Catapano, R., & Choi, I. (2017). Taking stock of happiness and meaning in everyday life: An experience sampling approach.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8(6), 641-651.

​
[7] Plato. Apology. 21d 

Previous Post

그대로 쓰는 사람 vs. 더 나은 것을 찾는 사람

Next Post

한 번에 하나 씩

Related Posts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카드뉴스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11월 29, 2024
529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카드뉴스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11월 29, 2024
628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카드뉴스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2월 20, 2024
1k
Next Post

한 번에 하나 씩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