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보톡스의 안면 피드백 효과

보톡스의 안면 피드백 효과   신체적 요소가 정서를 포함한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라고 부른다(Wilson, 2002). 예를 들어,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 행복해지고, 슬픈 표정을 지으면 슬퍼진다 (Mori & Mori, 2009).  그렇다면, 찡그리거나 슬픈 표정을 할 때 사용하는 안면 근육을 마비시키는 보톡스(Botox) 주사를 안면에 투입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행복할까? 연구결과는 그렇다는 것을 보여준다 (Wollme et al., 2012). 보톡스를 맞기 직전에 우울증 수준을 측정...

Read more

행동 피드백 효과

행동 피드백 효과      신체적 요소가 정서를 포함한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라고 부른다(Barsalou, 2008). 예를 들어,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 행복해지고, 슬픈 표정을 지으면 슬퍼진다 (Mori & Mori, 2009).  그럼 우울할 때와 같이 느릿느릿한 걸음걸이, 쳐진 어깨, 고개를 숙이는 행동이 우울하게 만들고, 반대로 행복하고 자신감이 넘칠 때와 같이 넓은 보폭의 걸음걸이, 활짝 핀 어깨, 고개를 드는 행동이 행복하게 만들까? 연구결과는 그렇다는 것을 보여준다(Flack, 2006). 한...

Read more

처벌, 반응방지, 그리고 차별적 강화

처벌, 반응방지, 그리고 차별적 강화      처벌(punishment)이란 어떤 자극의 출현 혹은 제거로 인해 행동의 감소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리를 계속 떠는 누군가가 다리를 심하게 떨 때마다 허벅지를 ‘찰싹’ 때렸는데, 그 결과 다리 떠는 것이 감소했다면, ‘찰싹’ 때리는 행동은 처벌로 작용한 것이다(정적 처벌: 자극의 제시로 인한 행동 감소). 또한 실적을 채우지 못한 사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삭감한다면, 근무시간 중에 근무와 관련 없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감소하는데, 이것은 ‘인센티브의 삭감’이...

Read more

올바른 질문을 통한 설득

올바른 질문을 통한 설득   많은 사람이 자신 있고 확신에 찬 태도로 말하는 것을 설득을 핵심으로 여긴다. 하지만 한 가지 기억할 것은 현대인들 대부분이 일상생활에서 광고, 전화판매원, 영업사원, 기금 모금원들이 자기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라거나, 정치인들이 자신의 정책 혹은 정당(조직)을 지지해달라는 말에 지칠 대로 지쳐있다는 사실이다. 강력하게 설득하려는 메시지를 들으면 우리는 오히려 의혹에 빠진다. 혹시 속임수에 걸려 사기를 당하는 건 아닌지, 착취자의 교묘한 전략 혹은...

Read more

일에 대한 세 가지 인식: 돈벌이, 경력, 소명

일에 대한 세 가지 인식: 돈벌이, 경력, 소명      일에 대해 소명의식을 가진 사람은 일을 경력이나 돈벌이로 인식한 사람보다 소득이 많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으며 직장에서의 직위가 높지만, 일에 대한 스트레스 자체를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일을 돈벌이로 인식한 사람들도 소명의식을 가진 사람들만큼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할 수 있다. 일을 돈벌이로 본다고 하여 근속연수가 짧은 것이 아니며, 돈벌이로 보는 사람들 중에도 소명의식을 가진 사람만큼 오래 일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아래 A,...

Read more

주의가 정서판단에 미치는 효과

주의가 정서판단에 미치는 효과    정서가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긍정정서는 전역적 주의를 유도하는 반면 부정정서는 국소적 주의를 유도하는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들을 도출하였다(Gasper & Clore, 2002; Fredrickson & Branigan, 2005). 그러나 한 사람의 주의가 전역적(global)인지 혹은 국소적(local)인지가 정서판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야 이루어졌다(Srinivasan & Hanif, 2010).    그림 1. Srinivasan과 Hanif(2010)의 연구절차   그림-1은 주의가 정서정보 수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절차를 보여준다. 참가자가 화면...

Read more

주관적 행복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주관적 행복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 성 불평등과의 연관성 및 효과크기 추정  여성은 자신의 삶을 덜 행복하다고 느끼고, 남성은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가? 세계적인 성 불평등을 고려할 때, 일견 그렇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실제로 개인이 행복을 인식함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어왔다. Haring과 동료들(1984)은 남성이 여성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나 Wood와 동료들(1989)의 연구에서는 반대로 남성이 여성보다 삶의...

Read more

정서가 동서양의 우세한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정서가 동서양의 우세한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동서양 문화권에 따른 사고방식에 대한 연구들, 특별히 인과관계 추론이나 귀납추론을 할 때 동양인(East-Asian)들이 맥락중심적인 종합적 추론(holistic reasoning)을 하고 서양인(Westerner)들은 개별대상 중심적인 분석적 추론(analytic reasoning)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Nisbett, 2003; Nisbett et al., 2001). 그렇다면, 긍정정서 혹은 부정정서는 이러한 동서양의 우세한 정보처리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모국어가 영어인 69명의 미국국적 소유자와 모국어가 한국어인 41명의 한국국적 소유자가 참여하였다(Koo et al.,...

Read more

정서가 주의에 미치는 효과

정서가 주의에 미치는 효과    정서가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긍정정서는 전역적 주의를 유도하는 반면 부정정서는 국소적 주의를 유도하는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들을 도출하였다(Gasper & Clore, 2002; Fredrickson & Branigan, 2005).     그림 1. 전역적 대 국소적 주의유도 확인과제(Gasper & Clore, 2002; Kimchi & Palmer, 1982)    구체적으로 그림-1A와 같은 기준 자극을 본 후, 아래의 두 그림 중 어느 것과 더 유사한지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주의가 전역적으로 유도된...

Read more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다음 이야기를 읽고 답해보자.   당신은 지금 자동차 모델A를 사려고 생각 중이다. 이 차는 디자인이나 성능 면에서 닛산 블루버드와 비슷하다. 신용도 있는 한 리서치 기관에서 모델A를 구입한 5,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소비자의 82%가 만족했고, 18%는 불만족을 표했다. 그리고 당신의 친구가 1년 전 이 모델A를 구입했다. 친구는 지난 1년간 이 차로 6만km를 달렸다. 그러나 차의 성능은 여전했고 잔 고장도...

Read more
Page 319 of 350 1 318 319 320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