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전략적 낙관주의 vs. 방어적 비관주의

전략적 낙관주의 vs. 방어적 비관주의    사람들은 보통 ‘낙관주의는 좋고, 비관주의는 나쁘다’든지 ‘낙관주의자의 성취가 비관주의자의 성취보다 높다’는 선입관을 가진다. 그런데 낙관주의자라고 해서 언제나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도 아니며, 비관주의자라고 하여 언제나 실패하거나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개인 차이를 인정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두 가지 성향은 동일하게 높은 성취를 나타낼 수 있다(Norem & Cantor, 1986).​  먼저 낙관주의자는 대부분의 경우 최상의 결과를 기대하면서 평정심을 유지한다(Norem...

Read more

적은 것이 더 가치 있다?

적은 것이 더 가치 있다?      가시적인 비교대상의 존재 유무는 사람들이 어떤 대상이나 사건을 평가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사람들은 가시적인 비교의 대상이 있을 때는 그 대상과 비교하지만, 가시적인 비교의 대상이 없을 때는 자신의 지식에서 생성한 임의의 기준을 적용하여 판단(휴리스틱)한다. 아래의 문제를 살펴보자. 당신은 세트A와 세트B 중 어느 것에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하였는가?    당신의 집과 가까운 식기류 매장에서 염가 처분행사를 하고 있습니다.이번에 처분하는 식기들은 한...

Read more

자기 실현적 예언

자기 실현적 예언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학생과 평범한 학생이 따로 있는 것일까? 아니면, 다른 요인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학생과 평범한 학생을 만들어 내는 것일까?  일찍이 이 질문에 관심을 가진 하버드대학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과 사우스 샌프란시스코 통합 학교(South San Francisco Unified School: 한국의 초등학교에 해당한다) 교장 레노어 제이콥슨(Lenore Jacobson)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자들은 사우스 샌프란시스코 통합 학교의 18개 학급(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각 학년별로 3개 학급...

Read more

인식의 공백과 공감의 어려움

인식의 공백과 공감의 어려움: 개구리는 올챙잇적 생각을 못한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공감한다,’ ‘난 누군가를 이해한다,’ ‘저 마음이 무엇인지 안다’라는 말을 통해 누군가가 처한 상황이나 감정에 대한 공감을 표현한다. 그리고 마치 이렇게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을 잔인한 사람, 냉혈인간으로 치부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런 공감 관련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 사랑이 넘치는 사람들은 진정으로 그 순간 그 사람에게 완전히 감정이 이입되어 그 사람이 처한 입장과 감정을 고스란히 느낀다는 것일까? 아니면 단지...

Read more

소속감의 범위와 도움행동

소속감의 범위와 도움행동        한 영국의 심리학자 팀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영국 1부 리그-프리미어 리그- 축구팀) 팬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Levine et al., 2005). 첫 번째 실험에서 맨유 팬들은 어떤 사람이 강둑을 따라 조깅을 하다가 접질러서 넘어진 후, 발목을 붙잡고 신음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그러나 넘어진 사람은 사실 연기자(실험 조력자)다. 이 시점에서 조건이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한 조건은 평범한 T셔츠를 입은 사람이 넘어지는 것이고, 다른 조건은 맨유 T셔츠 입은 사람이...

Read more

웃으면 복이 오는가?

웃으면 복이 오는가?: 웃음에 대한 개인의 가설과 웃음 빈도의 상호작용    복이 오면 웃는다 –   웃으면 복이 온다 –     홍콩과기대와 노스웨스턴대, 토론토대학의 공동 연구는 웃음과 건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3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이 연구의 행복하지 않을 때 계속 웃는 것은 심리적 상실감을 가중시킬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Labroo, Mukhopadhyay, & Dong, 2014).​  이들의 첫 번째 실험은 108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루에 얼마나 자주 웃는지(지각된 웃음 빈도: “I...

Read more

어떤 경험이 우리를 더 행복하게 만들까

Happiness from ordinary and extraordinary experiencesBhattacharjee, A., & Mogilner, C. (2013).    "우리는 우리 삶의 모든 순간을 합친 것이다. 그것이 우리 삶의 전부이다“- 소설가 토마스 울프(1929)“어떤 경험이 우리를 더욱 행복하게 만들까?” ​  행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우리의 시간과 돈을 어떻게 써야할까? 심리학과 소비자학 관련 연구들에서는 사람들의 더 큰 행복을 위해서는 물질보다는 경험을 구입해야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에서는 어떤 경험을 소비하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답하지 못하고 있다....

Read more

밝은 조명이 최고의 경찰이다.

밝은 조명이 최고의 경찰이다.    수필가 랄프 왈도 에머슨의 “워십”이라는 작품에 보면 “가스 조명이 최고의 야간 경찰인 것처럼, 세상은 인정사정없는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매체가 모든 것을 드러냄으로써) 스스로를 지켜나간다.”라는 글이 있다. 이것을 반대로 해석하면 어둠이 익명성을 부추기고, 금기시 하던 일들에 대한 통제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Zhong, Bohns, & Gino, 2010).  일상에서 발생하는 현상은 어두움과 범죄와의 연관성을 지지하는 듯 보인다. 범죄는 주로 야간에 발생하고(Braga & Weisburd, 2010; Morrow &...

Read more

너를 위해서라면 할 수 있어

너를 위해서라면 할 수 있어I can do it for you.    린다 밥콕(Linda Babcock)과 동료들은 남녀 간(여성이 이타적 성향이 강해 연봉을 낮게 부른다고 알려져 있음)의 협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독창적인 실험을 통해 측정했다(Bowles, Babcock, & McGinn, 2005). 이 실험에는 개인회사와 주식회사의 CEO, COO, 회장, 운영부장, 이사회 의장 등 고위급 중역 176명이 참가했다. 실험은 한 소프트웨어 회사의 직원이 승진을 앞두고 협상을 벌이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루어졌다(그림-1).    그림 1. 때로...

Read more

남과의 비교가 보상과 뇌에 미치는 영향

남과의 비교가 보상과 뇌에 미치는 영향   내 연봉이 지금의 두 배가 되면, 나는 현재보다 두 배 더 행복해질까? 전통적인 경제학 관점에서는 ‘그러하다’고 대답할 수도 있다. 정확히 2배는 아니더라도, 노동에 대한 절대적 보상(금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요컨대 보상으로 받는 금액이 많은가 적은가가 개인의 주관적 행복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행동경제학의 관점에서는 상대적 보상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상대적 보상, 즉 사회적 비교가 개인의 주관적 행복 지각에 영향을...

Read more
Page 320 of 350 1 319 320 321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