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행복을 위해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돈 or 자율성? 국민들의 주관적인 행복을 위해서는 많은 돈을 주는 것이 중요할까, 높은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할까? 돈이냐 자율성이냐를 놓고 매우 격렬한 갑론을박이 벌어지겠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후자가 개인의 주관적 행복에는 더 중요하다. 적어도 이 연구에서는 그렇게 말하고 있다. 결론이 믿기지 않거나 의심되는가? 또는 매우 흥미롭다고 생각하는가? Fischer와 Boer의 연구 과정을 따라가며 확인해보자. Fischer와 Boer은 본 연구에서 메타분석을...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가능성과 행복 민주주의란 국민에게 국가의 주권이 있으며, 국가적 의사결정은 국민의 행복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핵심으로 한 정치 사상이다. 이 사상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모든 국민이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정책을 결정하고 시행과정을 감독하며, 부족한 점이 있을 때는 수정하는 직접 민주주의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국민이 모든 국가적 의사결정에 참여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대안으로 제시된 민주주의 제도가 국민 다수가 뽑은 대표(들)에게 국민이 가진 의사결정...
행복을 위한 핵심 덕목, 용기: 심리적 안녕감과 용기의 밀접한 연관성 행복에 대한 관점은 행복의 정의와 직결되는 문제로 중요하다. 행복에 대한 관점에는 크게 두 가지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하나는 쾌락주의 관점(hedonic perspective)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실현적 관점(eudaimonic perspective)이다. 전자의 관점은 행복을 감정적 즐거움과 만족으로 보는 반면, 후자의 관점을 행복을 삶의 의미와 목적 실현으로 본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두 가지를 통합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미와 목적을 실현하는 삶...
난 소중하니까: 자기긍정과 효과적 정보처리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자기고, 스스로를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어떤 점에서 다를까? Reed와 Aspinwall(1998)은 자기긍정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여부와 위험한 정보의 관련성에 따라 정보에 대한 기억과 평가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이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평균연령 20.6세의 여성 6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여성이 하루에 커피를 2잔 이상 마시는 사람인지, 1잔 이하로 마시는 사람인지를 물은 후, 무작위로 선정한 절반에게는...
있는 자 더 있게, 없는 자 더 없게: 행복을 영구적으로 낮출 수 있는 큰 고통과 시련 신약성경 마태복음에는 “있는 자 더 있게 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도 빼앗느니라.”는 구절이 2번이나 등장한다. 2015년 5월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 셰릴 K. 샌드버그(Sheryl Kara Sandberg, born August 28, 1969)는 남편 데이브 골드버그(Dave Goldberg, October 2, 1967 – May 1, 2015)와 여행을 즐기던 중, 호텔 체육관으로 운동하러 간다던 남편이 한참이나...
외모로 평가받는 것의 불행: 또래집단보다 불행한 패션모델들 패션쇼에 등장하는 모델들은 자신감 넘치는 표정과 워킹, 디자이너의 옷을 완벽 그 이상으로 소화해내는 신체 비율, 디자이너의 옷을 더 돋보이게 만들어주는 포즈로 청중을 압도한다. 모델만으로도 충분히 멋있고 아름다운데, 적절한 무대장치, 조명, 음악, 그리고 여기저기서 터지는 카메라의 플래시가 더해지면 전혀 다른 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들 같은 느낌마저 든다. 그렇다면, 이렇게 화려한 겉모습을 가진 모델들의 내면은 어떨까? 이들의 내면도 이들의 외모만큼이나,...
새 관점과 새 힘 제한된 심적 자원(mental resource)을 가진 인간은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를 통해 수많은 외부자극들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처리한다(Treisman, 1969). 그리고 한 사람이 이 제한된 심적 자원을 활용하여 어떤 일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다보면, 더 이상 그 일을 수행할 수 없을 만큼 정신적 ․ 신체적 피로를 느끼게 되고, 결국 그 일을 중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자아고갈(ego depletion)이라고 부른다(Baumeister et al., 1998).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