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비교하는 마음은 불행하다

너의 실패는 나의 기쁨: 비교를 통해 웃고 우는 불행한 사람  양팔 저울은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는 용도와 무게를 비교하는 용도로 모두 쓰일 수 있다. 우리 마음에도 양팔 저울이 있다면, 당신은 이것을 무게를 측정하는 것에 쓰고 있는가? 비교하는 것에 쓰고 있는가?   양팔 저울은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도 쓸 수 있고, 무게를 비교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무게를 측정하는 용도로 양팔 저울을 쓸 때는 한쪽에 600그램짜리 추를 올려놓은 후, 다른...

Read more

나눌고 베풀기_시간을 내어주면 시간이 생긴다

시간 주면 시간을 생긴다: 시간이 없어서 못 돕는 게 아니라 돕지 않아서 시간이 없다.        ‘시간이 없다!’와 같은 말을 자주 입에 달고 다니지는 않는가? 초단위로 바뀌는 현대 세상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를 시간에 쫓기게 만들고는 한다. 심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의 인심이 점점 더 강퍅해지는 것 또한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 시간에는 변화가 없더라도 타인에게 시간을 할애하는 친사회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시간에 대한 심적 여유를 확보할 수...

Read more

사후가정적 사고: 동메달이 은메달보다 행복한 이유

언제 적은 것이 더 가치있는가?: 올림픽 메달리스트들 사이에서의 사후가정적 사고와 만족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운동경기가 끝난 후, 메달을 수여받기 위해 시상대에 오른 선수들의 얼굴을 본 적이 있는가? 흔히 생각할 때, 3위 선수보다 성적이 더 좋은 2위 선수가 더 밝은 표정을 지을 것 같다. 그러나 실제로는 은메달을 딴 선수는 침울한 표정을 하고 있는 반면, 동메달을 딴 선수는 너무나도 신나고 행복해하는 표정을 하고 있는 것을 자주 목격할...

Read more

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설정점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이혼의 상처      사람들은 상처 받은 사람들에게, 때로는 상처 받은 자기 자신에게, ‘시간이 모든 걸 해결해 줄 거야’, ‘시간이 약이야’라고 말한다. 또 사람의 행복과 가장 관련성이 강한 요인으로 알려진 유전적 설정점(set point)을 강조하는 학자들은 사람들은 모든 환경에 빠르게 적응(adaptation)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좋지 않은 일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유전적으로 설정된 행복의 수준, 즉 설정점으로...

Read more

소득불평등과 이스털린 패러독스

소득증가의 힘은 소득 불평등이 감소시킨다.: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3      지금 이 순간 나보다 부자인 친구가 나보다 행복할까? 이 질문에 대한 경제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의 대답은 대부분 ‘네(yes)’일 가능성이 높다. 같은 시점에서 소득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권리를 가질 가능성이 높고, 돈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존중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즐거운 오락을 즐길 가능성이 높고, 맛있는 음식을 먹을 가능성이 높으며, 지루함, 우울, 신체적 고통 등을 경험할...

Read more

매력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주는가?

매력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주는가?: 자신의 외모를 관리할 줄 아는 행복한 사람     매력이란 무엇일까? 국어사전의 정의에 의하면 매력은 ‘사람의 마음을 잡아끄는 힘’이다. 어떤 사람을 처음 봤을 때 ‘왠지 모르게 함께 해도 좋을 것 같았는가?’ ‘왠지 친해지고 싶었는가?’ ‘왠지 같이 일하면 좋을 것 같았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그 사람을 매력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매력은 ‘관계를 형성하고 싶게 만드는 힘’이라고 다시 정의할 수 있다.   매력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Read more

뛰어난 평론가는 잔인하다

뛰어난 평론가는 잔인하다      초등학교 때부터 좋은 관계를 이어온 친구 두 명이 오랜만에 만났다. 차 한 잔을 하면서 그동안 지냈던 이야기를 하고, 서로의 외모에서 좋은 점을 칭찬하며, 과거에 있었던 미담들을 되새기며 즐겁게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다가 한 친구가 머뭇거리더니 “우리 이제 진지한 이야기 좀 할까?”라고 말문을 꺼낸다.   대화가 어떻게 바뀌었을까? 갑자기 자신이 힘들었던 이야기, 미래가 불확실하고 두렵다는 이야기,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다는 이야기, 사실 아까 웃고...

Read more

냉소적 불신과 소득

세상은 냉소적인 사람에게 냉소적이다: 냉소적 신념과 낮은 소득     2015년 12월 1일, 세계최대의 사회관계망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Facebook의 대표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와 프리실라 찬(Priscilla Chan)은 딸을 출산했다. 그리고 그날 마크 주커버그는 자신의 딸에게 편지를 쓰면서, 자신의 딸과 함께 자랄 모든 아이들의 교육과 건강을 위해 450억 달러를 기부한다고 선언한다. 이는 Facebook 주식의 99%에 해당하는 엄청난 금액이었다. 전 세계의 부자들 중에 자신은 1%만 가지겠으니, 99%는 사회를 위해 내놓겠다는...

Read more

국가 수준에서의 이스털린 패러독스

국민 소득은 증가! 국민 행복은 그대로?: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1  횡단적 분석에서는 소득과 행복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지만, 종단적 분석에서는 소득과 행복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를 거의 확인할 수 없는 현상은 이것을 발견한 Southern California 대학교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위 사진-(Richard Easterlin, born 12 January 1926)의 성을 따서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라고 부른다.  돈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 더 정확하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결과를...

Read more

개인수준에서의 이스털린 패러독스

개인 소득은 증가! 개인 행복은 그대로?: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2     개인의 부유함은 개인의 행복과 어느 정도 관계가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차원에서 부(wealth)와 행복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부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보다 행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지금 이 순간에 소득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보다 행복하다는 증거를 찾아야 한다. 다음으로 특정 기간 동안 부가 증가한 사람들은...

Read more
Page 322 of 350 1 321 322 323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