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설정점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이혼의 상처 사람들은 상처 받은 사람들에게, 때로는 상처 받은 자기 자신에게, ‘시간이 모든 걸 해결해 줄 거야’, ‘시간이 약이야’라고 말한다. 또 사람의 행복과 가장 관련성이 강한 요인으로 알려진 유전적 설정점(set point)을 강조하는 학자들은 사람들은 모든 환경에 빠르게 적응(adaptation)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좋지 않은 일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유전적으로 설정된 행복의 수준, 즉 설정점으로...
소득증가의 힘은 소득 불평등이 감소시킨다.: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3 지금 이 순간 나보다 부자인 친구가 나보다 행복할까? 이 질문에 대한 경제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의 대답은 대부분 ‘네(yes)’일 가능성이 높다. 같은 시점에서 소득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권리를 가질 가능성이 높고, 돈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존중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즐거운 오락을 즐길 가능성이 높고, 맛있는 음식을 먹을 가능성이 높으며, 지루함, 우울, 신체적 고통 등을 경험할...
세상은 냉소적인 사람에게 냉소적이다: 냉소적 신념과 낮은 소득 2015년 12월 1일, 세계최대의 사회관계망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Facebook의 대표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와 프리실라 찬(Priscilla Chan)은 딸을 출산했다. 그리고 그날 마크 주커버그는 자신의 딸에게 편지를 쓰면서, 자신의 딸과 함께 자랄 모든 아이들의 교육과 건강을 위해 450억 달러를 기부한다고 선언한다. 이는 Facebook 주식의 99%에 해당하는 엄청난 금액이었다. 전 세계의 부자들 중에 자신은 1%만 가지겠으니, 99%는 사회를 위해 내놓겠다는...
국민 소득은 증가! 국민 행복은 그대로?: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1 횡단적 분석에서는 소득과 행복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지만, 종단적 분석에서는 소득과 행복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를 거의 확인할 수 없는 현상은 이것을 발견한 Southern California 대학교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위 사진-(Richard Easterlin, born 12 January 1926)의 성을 따서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라고 부른다. 돈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 더 정확하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