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감정적 웰빙과 신체건강

마음이 건강해야 신체도 건강하다: 감정적 웰빙과 건강한 노화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A sound mind in a sound body)는 속담은 고대 로마의 시인 유베날리스(Juvenalis)가 한 말로 알려져 있다. 이 속담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면, 건강한 정신은 건강한 신체에서 기인한다. 쉽게 말해 정신 건강은 신체 건강에 달려있다.  그러나 현대의 과학적 연구결과는 이 속담의 앞과 뒤가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다. Ostir와 동료들(2000)의 연구는 이 속담의 앞과 뒤가 반대로...

Read more

감사의 힘_감사가 친사회적 행동을 하게끔 만드는 이유

A Little Thanks Goes a Long Way:Explaining Why Gratitude Expressions Motivate Prosocial BehaviorGrant & Gino (2010)  - 감사 표현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이유 -“작은 감사의 표시는 큰 힘을 지니고 있다.”  ​  감사는 어디에나 존재한다. 우리는 선물이나 도움, 친절, 후원 등을 받았을 때 감사함을 느낀다. 이러한 ‘감사’하는 마음은 몇 가지 이점을 준다. ​  - 첫째, 감사는 사람들이 긍정적인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 둘째, 감사는 사람들이...

Read more

감사가 사회적관계에 미치는 영향

감사와 관계 형성      ‘감사’라는 감정은 사회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에서도 감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왔다.   지금까지 감사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을 도와준 사람에게 보답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연구해왔다. 이렇게 누군가에게 보답하는 행동은 ‘감사’를 나타낸다고 받아들여져 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보답행위는 불쾌한 ‘부채감’과도 연관이 있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사의 긍정적인 상황적 특징에 대해 다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한편,...

Read more

행복의 선순환: Fredrickson의 확장-구축 이론

행복의 선순환: Fredrickson의 확장-구축 이론    사람들은 일상에서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는 사람들을 보곤 한다. 분노한 사람은 호흡이 빨라지고, 얼굴이 빨개지며, 목소리가 커지고, 주먹을 불끈 쥐어서 금방이라고 공격적 행동이 나타날 것만 같다. 두려움이나 공포를 느끼는 사람은 몸과 목소리가 떨리고, 안색이 창백해진다. 혐오스러움을 느끼는 사람은 혐오의 대상에 냉소를 보이거나 무시한다. 깊은 슬픔에 잠긴 사람은 어깨가 축 처지고, 걸음이 느려지며, 모든 것을 허무한 듯이 바라보고 무기력하다.  그렇다면, 긍정적 정서를...

Read more

행복과 장수: 수녀님들의 정서표현과 수명

행복과 장수: 수녀님들의 정서표현과 수명   그림 1. 통제된 식단과 유사한 일상을 공유하는 수녀님들에 대한 연구는 행복의 효과에 단서를 제공하기에 유리하다.  오래 사는 것, 그리고 이것에서 나아가 영원하게 사는 것은 인류가 오래도록 관심을 가져온 문제이다. 인류가 이 문제에 천착하는 이유는 하나는 아마도 존재가 소멸되는 것, 더 정확하게는 ‘나(self)’라는 존재가 소멸되는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중국 진시황제의 불로초를 구하려는 과거의 노력과 인공지능을 개발하여...

Read more

지식수준과 안목

지식수준과 안목: 전문가의 범주화와 초보자의 범주화  그림 1. 세상에 있는 것들을 어떻게 범주화하는지는 그 사람의 전문지식 수준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아는 만큼 보인다’, ‘견문을 넓혀야 한다’라는 말씀을 자주 하신다. 친숙한 말이기에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이 의미하는 속뜻을 생각해보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말임을 알 수 있다.  가능한 한 가지 해석은 사람이 어떤 대상에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 사전 지식을 사용하여 그...

Read more

절정과 대미: 일화 평가에 있어서 절정-대미 효과

절정과 대미: 일화 평가에 있어서의 절정-대미 효과(peak-end effect)  그림 1. 우리는 과거 경험한 일을 긍정적 평가하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무엇이 이러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은 여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동일한 패키지 안에서 같은 코스로 여행을 다녀온 사람들 사이에도 평가가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이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것일까?  Redelmeier와 Kahneman (1996)은 이 질문에 대한...

Read more

미소와 미래

미소와 미래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자신의 일상을 온라인에 공개하는 현대인을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 중에서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사용해 자신을 찍는 셀피(selfie)는 자신의 일상을 공개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셀피를 찍으면서 미소를 짓곤 한다.  그런데 어쩔 때는 그 사람의 미소가 정말 행복해보이는 반면, 다른 때는 인위적인 느낌을 주거나 위화감을 느끼게 하는 미소도 있다. 어디서 이러한 차이가 오는 것일까? 아래...

Read more

행복한 사람의 판단력 향상

행복한 사람의 판단력 향상: 긍정정서가 정보통합 속도에 미치는 효과    정확한 판단력을 원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인생은 출생(Birth)과 죽음(Death) 사이의 선택(Choice)라는 사르트르의 말처럼 (인생은 B와 D사이의 C) 선택의 연속인 인생에서 어떻게 최적의 선택을 해나갈 수 있을까? 또한 빠르게 판단하면 실수가 많고, 정확하게 판단하면 느려지는 인지능력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극복하고,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까?  Isen과 동료들(1991)의 정확한 판단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궁금증에 대한 답이 긍정...

Read more

행복한 사람의 수반성 지각

행복한 사람의 수반성 지각: 행복한 바보와 우울한 천재   우리 주변에는 ‘모든 것을 내 손으로 이루었다’는 엄청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는 식의 무기력한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Alloy와 Abramson(1979)의 고전적인 연구는 ‘내가 해냈어’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었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차이를 보여준다.  그림 1. 의사결정과제. 참가자들의 과제는 노란불이 들어왔을 때 3초 내로 버튼을...

Read more
Page 323 of 350 1 322 323 324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