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돈과 행복2: 행복의 유형과 소득의 다이나믹스

돈과 행복2: 행복의 유형과 소득의 다이나믹스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지금까지 여러 사람들이 이 질문의 답을 고민해왔다. 어떤 사람은 “돈이 행복의 전부다(물질주의적 관점)”라는 답을 제시하기도 했고, 다른 사람은 “돈은 행복에 아무 것도 아니며, 행복은 마음먹기 달렸다(심리주의적 관점)의 답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모’아니면 ‘도’, ‘그렇다’아니면 ‘아니다’라는 명쾌한 답은 언제나 부정확하기 마련이며, 진짜 정답은 보통 이 둘 사람의 어디 쯤에 위치하기 마련이다.    Kahneman과 Deaton(2010)은 완전한 물질주의와...

Read more

돈과 행복1: 국민소득과 국가적 행복

돈과 행복1: 국민소득과 국가적 행복  ‘행복의 개인차’를 ‘어떤 요인이 잘 설명’하는가라는 질문과‘개인의 행복’을 ‘무엇이 결정’했는가라는 질문은 다르다.개인간 행복점수 차이를 설명할 때는 유전이 잘 설명하지만,실제 한 개인의 행복이 왜 그 점수인지,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돈일 가능성이 있다.  사람A의 행복은 10점 만점에서 7점이고, 사람B의 행복은 6점이라고 하자. 어떤 요인이 이 두 사람의 행복에 1점이라는 차이를 만들었을까? 다른 말로 어떤 요인이 사람A가 사람B보다 1점 더 높은 행복을 가지는지에 대해...

Read more

내 친절을 참신하고 특별하게 만들기: 다양한 친절을 한꺼번에 베풀기

내 친절을 참신하고 특별하게 만들기: 다양한 친절을 한꺼번에 베풀기    친절을 베푸는 것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증가시키고, 친절을 베푼 사람의 유능함을 드러낼 뿐 아니라, 친절을 베푼 사람의 평판을 높이고, 좋은 관계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친절을 베푼 사람 자신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는 실상 자기 자신을 돕는 것이다(Schwartz & Sendor, 1999).  그렇다면, 매일매일 조금씩 친절을 베푸는 것이 행복에 도움이 될까? 아니면, 하루 날을...

Read more

남에게 베풀면 내가 행복하다: 이타적 소비와 행복

남에게 베풀면 내가 행복하다: 이타적 소비와 행복    당신에게 공돈(windfall) 오만원이 생겼다. 평소에 사고 싶은 물건을 사겠는가? 아니면 가족이나 친구를 만나서 밥을 사주겠는가? 전자를 선택하는 것과 후자를 선택하는 것은 여러분의 자유지만, 더 오래 기억에 남고 더 행복해지고 싶다면 후자를 선택하길 권하고 싶다.  Dunn과 동료들(2008)의 세 가지 연구를 통해 왜 후자가 ‘행복을 위한’ 더 나은 선택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첫 번째 연구에서 연구진은 632명의 미국인(여성의 비율 55%)을 대상으로...

Read more

낙관적이면서 안전을 추구하다! – 낙관성과 위험추구

낙관적이면서 안전을 추구하다!: 낙관성과 위험추구    사람들은 비현실적 낙관주의(unrealistic optimism)에 대해 비판하면서 지나친 낙관성은 다가오는 위험에 대해 둔감하게 반응하게 함으로써 사람을 곤경에 빠뜨릴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낙관성은 언제나 비현실적이며, 도박장에서 잃을 것을 뻔히 알면서 자신이 가진 전 재산을 걸게 하는 그런 것일까?  Taylor와 동료들(1992)의 고전적인 연구는 낙관성이 항상 비현실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 심지어 낙관성과 합리적 행동 사이에는 사실 관련이 없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Read more

평범한 일상에 대한 감사와 행복 : 짊어진 것을 불평하기보단 받은 것에 감사를

평범한 일상에 대한 감사와 행복: 짊어진 것을 불평하기보다 받은 것에 감사를   사람들은 누군가로부터 호의를 받았을 때,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발견했을 때 ‘감사하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조금 더 정확하게는 자신이 그러한 호의를 받아야 하는 정당한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또 그렇게 사랑받고 존중받아야 하는 명확한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움을 받았을 때 마음으로부터 감사한 마음이 우러나온다.  만약 당연히 받아야 할 것을 받았다면 그것은...

Read more

Very Happy People: 아주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은?

Very Happy People: 아주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은?   ‘당신 요즘 정말 행복해보여!’라는 말을 들어 본적이 있는가? 만약 이런 말을 누군가에게 해보긴 했지만, 들어 본 적은 없다면, Diener와 Seligman(2002)에 주목해 보자. 그리고 한 번쯤은 스스로가 생각해도 행복이 넘쳐흘러서 다른 사람 입에서 ‘너 요즘 정말 행복해 보인다’라는 감탄이 나올 수밖에 없는 사람이 되어 보자.​  여기 긍정 심리학 분야의 선구자적인 두 학자가, 긍정 심리학이 아니더라도 심리학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두...

Read more

과일과 채소를 먹으면 학생들이 행복해질까?

과일과 채소를 먹으면 학생들이 행복해질까?행복연구센터 연구원  윤 영  ‘바디버든(Body Burden)’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바디버든이란 인체 내에 쌓인 특정 유해인자 또는 화학물질의 총량을 말하는데, 이를 해독하고 배출하는 능력이 약한 어린이들과 이런 능력이 쇠퇴한 노인들에게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실제, 2010년 이후 최근까지 만 19세 이하의 어린이나 청소년이 환경유해인자로 추정되는 물질로 인해 질병이나 질환이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게다가 아이들의 여러 신경정신관련 병리증상이 환경호르몬과...

Read more

‘우리’라는 단어의 사용이 행복에 어떠한 의미를 가질까?

‘우리’라는 단어의 사용이 행복에 어떠한 의미를 가질까?행복연구센터 연구원  윤 영  ‘갈등(葛藤)’은 한자 그대로 번역을 하자면 칡과 등나무의 얽힘을 의미한다. 칡나무는 왼쪽으로, 등나무는 오른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이 두 식물이 한 곳에서 만나면 서로를 감고 올라가 얽히게 되는 것이다. 사람 간의 관계에서 갈등은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갈등경험은 개인의 일에 대한 효능감과 수행(De Dreu & Weingart, 2003)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관계의 질(Pistole, 1989), 심리적 건강(De Dreu &...

Read more

자기조절도 너무 과하면 행복에 독이 될까?

자기조절도 너무 과하면 행복에 독이 될까?행복연구센터 연구원  윤 영 ‘자기조절은 삶을 행복하게 할까?’​이에 대한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다. 자기조절(Self-control)이란 충동을 조절하고 목표와의 갈등에서 생기는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Hofmann, Baumeister, Forster, & Vohs, 2012). 자기조절이 사람들의 삶을 만족스럽게 하거나 행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도 있고(Hofmann, Luhmann, Fisher, Vohs, & Baumeister, 2014), 주관적 웰빙을 감소시키거나 삶에 대한 정서적·인지적 만족도를 감소시키기도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Diener, Suh, Lucas, & Smith, 1999).  이처럼...

Read more
Page 325 of 350 1 324 325 326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