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한 번에 하나 씩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다루는 심리학. 이 심리학의 키워드를 오직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심리학 전체를 관통할 수 있는 주제를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나는 '주의(attention)'라고 답하겠다. 인간이 과거에 주의를 기울였던 것이 '기억'이다. 인간이 현재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것이 '관심, 흥미, 호기심, 동기'이다. 인간은 주의를 기울인 것에 가중치를 두고 '판단하고 의사결정'한다. '소비자 및 광고 심리학'은 인간의 주의를 끌...

Read more

호기심의 조건

호기심의 조건        호기심(好奇心; curiosity)이란 무엇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좋아하거나 모르는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 곧 호기심이다(유의어로는 흥미, 관심 등이 있음). 그러면 사람들은 언제 새롭고 신기하다고 느끼는가? 또 언제 모르는 것을 더 알고 싶어지는가? 어떤 사람들은 이 질문에 대해 ‘무엇인가에 대해 모른다고 느낄 때 새롭고 신기하다고 느끼고, 더 알고 싶어진다’고 답할 수 있다. 즉 호기심의 본질을 ‘모름’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이 대답도 호기심의...

Read more

그대로 쓰는 사람 vs. 더 나은 것을 찾는 사람

그대로 쓰는 사람 vs. 더 나은 것을 찾는 사람​: 현상유지 편향에서 벗어나려는 성향과 생산성   경제학자 마이클 하우즈먼(Michael Housman)은 미국의 은행, 항공사, 휴대전화 회사 등에 재직하는 직원 3만여 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떤 요인이 우수한 근무실적과 근속을 예측하는 것에 중요한지 파악하고자 했다(Housman, April 10, 2013).  설문조사 내용 중에 하우즈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포함시킨 요인에는 ‘과거의 이직률, 입사시 서류점수, 입사시 면접점수, 대학에서의 학점(GPA), 학력(고졸, 대졸, 석사, 박사), 주변의...

Read more

행복한 아이들이 만들어갈 행복한 세상

행복한 아이들이 만들어갈 행복한 세상     부모가 아이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처벌하는 것은 행동을 쉽고 간편하며 빠르게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부모가 지나치게 간편함과 쉬움만 추구하다보면, 아이들은 불편하고 불행해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부모가 조금만 불편을 감수한다면, 아이들은 편안하고 행복할 수 있다(Hoffman, 2000).     그림 1. 처벌은 행동을 수정하는 쉽고 편리한 방법이지만, 부정적 정서 경험과 반항심만 키우기 마련이다.   부모가 놀이터에서 놀고 집에 온 자녀가 손을 씻지 않을 때,...

Read more

행복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필요성

행복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필요성     *이 내용은 리처드 니스벳(Richard E. Nisbett)의 마인드웨어: 생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원저: Mindware: Tools for Smart Thinking), 10장 자연실험과 정식실험 (pp. 249-268) (이창신 역)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비과학적 접근은 시간과 비용만 허비한 후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심지어 비극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Nisbett, 2016). 행복에 대한 접근도 마찬가지다. 행복에 대한 접근을 비과학적으로 한다면, 아무런 효과를 거두지 못하거나, 비극으로 끝날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사람들은 좋은 의도로,...

Read more

쿠폰에 도장을 두 개 찍어 놓고 시작하자: 목표 가속화의 원리

쿠폰에 도장을 두 개 찍어 놓고 시작하자: 목표 가속화의 원리         모두 목표를 달성하고 싶어 하지만, 누구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목표에 집중해서 목표를 달성하고야 마는 사람들은 어떤 특성을 가질까? 다양한 특성이 있지만, 대표적인 특성 중 하나는 목표를 달성하고야 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최종 목적지가 잘 보이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최종 목적지가 잘 보이면 목표를 달성하기 쉬워 진다. 그렇다면, 최종 목적지가 잘 보이려면...

Read more

창조의 근원은 혼돈과 무질서

창조의 근원은 혼돈과 무질서: 정리정돈인가? 강박증인가?   일은 체계적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저 인간일 뿐이며, 무질서는 인간의 가장 해로운 적이기 때문이다.-헤시오도스, 기원전 800년경   자기 계발서 저자나 이를 가르치는 수많은 강사들은 헤시오도스의 위와 같은 조언을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고 안달이 나있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원서: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을 권장하는 스티븐 코비(Stephen Richards Covey)이든,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Read more

집단적 트라우마와 공동체의 따뜻한 언어사용

집단적 트라우마와 공동체의 따뜻한 언어사용   *본 콘텐츠는 제임스 패니베이커(James W. Pennebaker)의 저서 단어의 사생활(What our words say about us) (김아영 역) “5장 줄리아니 뉴욕 시장과 리어왕, 그들은 왜 갑자기 단어를 바꿔 말했을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진화 심리학자들은 9/11 연구 결과가 진화론적으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에 주목한다. 사바나에 작게 무리지어 다니던 집단이 다른 무리에게 공격을 당한다면 한데 뭉쳐서 외부에 주의를 기울이고 앞으로의 공격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Read more

집단적 트라우마와 언어사용의 변화

집단적 트라우마와 언어사용의 변화  *본 콘텐츠는 제임스 패니베이커(James W. Pennebaker)의 저서 단어의 사생활(What our words say about us) (김아영 역) “5장 줄리아니 뉴욕 시장과 리어왕, 그들은 왜 갑자기 단어를 바꿔 말했을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그림 . Cohn, Mehl, & Pennebaker (2004)의 논문에서 발췌한 연구결과. Preoccupation with 9/11은 이 사건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풍부한지를 측정하기 위해 블로거들의 글에 9/11 테러 사전에 등재된 27개 단어가 얼마나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것이다(The preoccupation index...

Read more

잘 하는 것을 선택하는 사람의 행복

잘 하는 것을 선택하는 사람의 행복    인간 내면에 무궁한 잠재력이 존재한다는 인식은 대중 심리학에서 비교적 오랫동안 반복되었던 인기있는 주제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도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Awaken the giant within!)’ 혹은 ‘거인의 무한한 능력(Unlimited power)’이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obbins, 2007; 2008). Robbins(2007; 2008)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삶의 단 한 가지 영역에 통달하는 데 모든 에너지를 집중할 때 거인과 같은...

Read more
Page 328 of 350 1 327 328 329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