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Vol.86 My Time Horizons (부제: 나의 시간 시력)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8월 31, 2023
in 뉴스레터
Share on Facebook
Miniature people and the concept of an aging society.

 

2023년 나의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한다면 공식적으로 내 나이가 2년이나 줄어든 것이다. 2023년 6월 대한민국이 만 나이 사용을 도입하게 되면서부터이다. 고작 두 살이지만 마치 20년은 더 어려진것 처럼  앞으로 더 많은 도전과 실패를 해봐도 괜찮다는 안도감과 지난 나의 미성숙한 생각과 행동을 좀 더 용인하고 기다려 줄 수 있는 여유마저 갖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삶이 2년밖에 남지 않았다면 이라는 생각이 스쳤다. 실패를 굴하지 않고 도전하겠다는 열심은 온데 간데 없이 사라지고, 나의 소중한 가족, 지인들과 보내던 친밀한 시간이 매우 간절해졌다.  찰나의 생각이였지만 내 생애 주기의 끝자락을  떠올리며 급격한  삶의 가치와 자세의 변화를 경험했다.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것을 꼽으라면 바로 “나이(age)”다. 그 누구도 나이 먹는 것을 (시간이 흐르는 것을) 늦출수도 멈출수도 되돌릴 수도 없다. Well-aging은 가능해도 Anti-aging은 불가능하다. 내 삶의 마지막에서 마주하게 될 삶의 가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일까? 난 앞으로 무엇을 위해 살게 될까.

사회정서적선택이론( Socioemotioal Selectivity Theroy : SST)은 연령에 따른 삶의 목표와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론(Carstensen, 1991, 1995)이다. 이 이론은 연령에 따라 미래 시간 관점(Future Time Perspective, FTP), 즉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인식하는지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젊은 사람들은 나이 든 사람들에 비해 개방적 시간 관점을 가지고 있어 미래를 더 멀리 보고 있는 반면, 나이 든 사람의 경우 시간이 제한되어있다고 인식한다. 노년기에 접어들면 사회 관계망은 축소되지만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발달적 욕구가 더욱 커지는데 이 이유는 바로 자신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고 생각하게되면서 삶의 동기와 목표를 외제적(성공, 돈)인 것에서 내제적(친밀한 대인 관계, 삶의 의미)인 것으로 옮겨왔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젊은 사람들은 미래의 투자를 중요하게 여기고, 미래에 잠재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식 습득, 경력 쌓기, 새로운 사회적 관계 개발과 관련된 목표에 집중한다. 반면, 나이 든 사람들은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사회적 접촉에는 관심이 적다. 미래 시간적 관점이 제한된 노인들은 현재 그리고 정서적으로 중요한 관계와 감정 조절에 더욱 집중한다. 이들의 관심은 정서적 의미를 높이고 심리적 안정을 갖는 것으로 향한다. 이미 선택된 친밀한 타인들과 관계를 맺어 정서적 만족을 보다 쉽게 보장받는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은 노인의 심리적 행복뿐만 아니라 신체적 행복을 위한 적응적 전략이기도 하다(Besser & Priel, 2005; Lapierre et al., 2001).  사회 관계의 질은 모든 연령에게 중요하지만(Diener & Seligman 2002), 외로움을 피하고(Besser & Priel, 2005), 삶의 의미를 느끼는 것이 특히 노년층에게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결과는 바로 이들이 가진 제한된 시간 관점과 내제적 삶의 목표 때문일 것이다(Mushtaq et al., 2014).

나이 드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했던가. 하지만 미래 시간 관점의 변화는 가능하다.

사회정서적선택이론은 미래 시간 관점을 변화시키므로 연령과 관련된 삶의 목표를 수정하거나 심지어 뒤집을 수 있다고 말한다(Fredrickson & Carstensen, 1990; Lang & Carstensen, 2002). 즉, 미래 시간 관점을 바꾸었을 때 연령에 따른 삶의 목표, 우선 순위 차이는 사라질 수 있다. 

한 연구에서 사스 전염병과 같이 삶의 유한성을 촉발한 사회적 사건이 젊은 성인들로 하여금 보다 정서적으로 의미 있는 목표에 집중하고 정서적으로 가까운 사회적 파트너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선호하도록 변화시켰다는 것을 밝혔다 (Fung & Carstensen, 2006). 코로나 팬데믹 또한 여러 연령에 걸쳐 높은 감염률과 사망률을 보였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사회적 동기의 차이를 살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Jiang 과 Carstensen(2023)은 팬데믹이 정점인 2020년과 백신이 도입된 2021년 사람들의 사회적 동기를 측정하여 비교했다. 연구결과  팬데믹이 정점일 때는 연령에 상관없이 정서적으로 의미있는 목표 (정서적으로 의미 있는 파트너)를 사회적 동기로 선택했다. 하지만 백신을 사용할 수 있는 시기에는 팬데믹 이전에 수행된 결과와 같이 사회적 선호에 연령별 차이가 존재했다. 

생물학적 나이는 바꿀수 없지만 시간을 향한 관점은 보다 유연하다.

다음은 나의 미래시간관점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주는 설문이다. 

1나의 미래는 나를 기다리는 기회들로 가득하다일반문항
2나는 앞으로 새로운 목표를 많이 세울 것이다일반문항
3나의 미래는 가능성으로 가득하다일반문항
4인생의 마지막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았다일반문항
5나의 미래가 무한하게 느껴진다일반문항
6앞으로 나는 원하는 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일반문항
7내 인생에는 새로운 계획을 세울 시간이 충분히 있다일반문항
8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역계산 문항
9미래의 가능성은 제한되어 있다역계산 문항
10나이가 들면서 나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고 느낀다역계산 문항
11인생의 마지막 순간, 함께 하고 싶은 사람은?일반문항

각 문항에 대해  “1= 전혀 그렇지 않다” 부터 “7= 매우 그렇다” 사이에 선택해보자.

 점수가 높을수록 열린 미래 시간 관점을 가졌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나의 미래 시야는 몇점인가? 

 

[출처]

Besser, A., & Priel, B. (2005).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self-definition in late adulthood: Persaonlity predispoitions, and predictive factor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3(4), 351-382. https://doi.org/10.2224/sbp.2005.33.4.351 

Carstensen, L. L., Isaacowitz, D. M., & Charles, S. T. (1999).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3), 165-181. 

Fredrickson, B. L., & Carstensen, L. L. (1990). Choosing social partners: How old age and anticipated endings make people more selective. Psychology and Aging, 5(3), 335–347. https://doi.org/10.1037/0882-7974.5.3.335

Lang, F. R., & Carstensen, L. L. (2002).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Aging, 17(1), 125–139. https://doi.org/10.1037/0882-7974.17.1.125

Lapierre, S., Bouffard, L., Dubé, M., Labelle, R., & Bastin, É. (2001). Aspirations and well-being in old age. In Life goals and well-being: Towards a positive psychology of human striving. (pp. 102-115). Hogrefe & Huber Publishers.

Mushtaq, R., Shoib, S., Shah, T., & Mushtaq, S. (2014).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psychiatric disorders and physical health? A review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lonelines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JCDR, 8(9), WE01–WE4. https://doi.org/10.7860/JCDR/2014/10077.4828

Jiang, L., & Carstensen, L. L. (2023). COVID-19 reduced age differences in social motiv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13, 1075814.

Previous Post

Vol.85 23′ Happiness Calendar

Next Post

Vol.86 행복과 시간

Related Posts

행복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행복 ON’ 시범운영 교원 모집
뉴스레터

행복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행복 ON’ 시범운영 교원 모집

2월 19, 2025
502
제 21기 교사행복대학 교육생 모집
뉴스레터

제 21기 교사행복대학 교육생 모집

1월 9, 2025
527
인생을 바꾸는 행복 습관 학교, 오늘의 행복
뉴스레터

인생을 바꾸는 행복 습관 학교, 오늘의 행복

12월 19, 2024
421
Next Post
Vol.86 행복과 시간

Vol.86 행복과 시간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